LG디스플레이 & LG이노텍 by 골드만 [3]

준장 염보사랑 | 25-10-20 08:38:04 | 조회 : 28 | 추천 : -


LG디스플레이 & LG이노텍         골드만


🖥 LG디스플레이 (LGD)

등급: 중립 (Neutral)

목표주가: 11,400원으로 상향 (기존 10,000원)


3Q25 실적 전망: 3분기 영업이익(OP) 전망치를 2,170억 원에서 4,200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Bloomberg 컨센서스인 4,370억 원에 대체로 부합하는 수준입니다.

전망 상향 이유:

스마트워치 OLED ⌚️: 경쟁사(Japan Display)가 Apple 스마트워치 OLED 사업에서 철수할 가능성이 제기됨.

비용 구조 개선: 광저우 TV OLED 공장 투자의 감가상각(D&A) 스케줄이 일부 종료됨.

환율 효과 💲: 원/달러 환율 약세(원화 가치 하락)가 예상보다 컸음.

향후 전망: 2025~2027년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스마트워치 OLED 순풍, OLED TV 비용 구조 개선, 스마트폰 OLED 출하량 증가(아이폰 플래그십의 LTPO 기술로 완전 전환 등)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주요 리스크: IT용 LCD 패널 가격 변동 및 TV OLED 출하량 변동.


📸 LG이노텍 (LGI)

등급: 중립 (Neutral)

목표주가: 183,000원으로 상향 (기존 160,000원)

3Q25 실적 전망: 3분기 영업이익(OP) 전망치를 1,760억 원에서 2,150억 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Bloomberg 컨센서스인 1,830억 원을 상회(beat)하는 수치입니다 👍.

전망 상향 이유:

환율 효과 💲: 원/달러 환율 약세(원화 가치 하락)가 예상보다 컸음.

제품 믹스 개선 📱: LGI가 대부분의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아이폰 17 Pro 시리즈의 믹스 비중이 높아짐.

향후 전망: 2025~2027년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카메라 모듈 생산기지를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함에 따른 비용 절감, FC-BGA 포트폴리오 확대로 인한 기판 수익 증가, 주요 고객사 스마트폰의 우호적인 믹스 등을 반영한 것입니다.

주요 리스크: 아이폰 출하량, Apple 내 LGI의 카메라 모듈 시장 점유율, 카메라 모듈 평균판매단가(ASP) 변동.

SNS로 공유하기
* 구독 설정을 변경하여 원하는 게시판만 모아보세요 [변경]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