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포트폴리오 전략 by 골드만 [3]

준장 염보사랑 | 25-10-24 08:30:45 | 조회 : 11 | 추천 : -


아시아태평양 포트폴리오 전략    골드만


핵심 메시지 💡

달러 약세는 아시아 주식시장에 대체로 긍정적입니다. 2026년을 향해 추가적인 달러 약세와 통화정책 완화가 역내 시장에 순풍이 될 전망입니다.


달러 전망 💵

골드만삭스는 향후 12개월간 달러가 DXY 기준 6퍼센트 하락하여 9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시아 통화들은 달러 대비 3~9퍼센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원화가 9퍼센트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역사적 증거 📈

아시아 주식 수익률과 달러의 상관관계는 60~80퍼센트에 달합니다. 지난 20년간 환율 변동은 MXAPJ 지수 달러 수익률의 평균 16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달러가 5퍼센트 이상 하락한 12차례 기간 동안 MXAPJ는 현지 통화 기준 중간값 10퍼센트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전달 경로 🔄

실적: 현지 통화가 5퍼센트 절상되면 MXAPJ 실적이 0.2퍼센트 상향 조정될 전망입니다. 일본은 예외로 엔화 5퍼센트 강세 시 실적이 3퍼센트 하락합니다.

밸류에이션: 아시아 환율이 1퍼센트 절상되면 MXAPJ 선행 주가수익비율이 0.1배 상승합니다.
자금 흐름: 달러 약세는 외국인 투자자의 아시아 주식 유입 증가로 이어져 더 강한 주식 수익률을 견인합니다.


지역별 차이 🌏

홍콩,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한국이 달러 움직임에 가장 민감합니다. 일본은 양의 민감도를 보이는 예외적 사례입니다. 섹터별로는 인터넷/미디어, 광업, 소매가 높은 민감도를, 소프트웨어, 부동산, 반도체는 낮은 민감도를 보입니다.

시장별로는 대중화권과 한국이, 섹터별로는 미디어, 보험, 자동차 같은 경기민감 섹터가 달러 약세 시 초과 성과를 냈습니다.

SNS로 공유하기
* 구독 설정을 변경하여 원하는 게시판만 모아보세요 [변경]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