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땡2 | 25-08-11 22:14:32 | 조회 : 155 | 추천 : +1
고소공포증은 주로 뇌의 편도체가 “이건 위험하다!”라고 판단할 때 강하게 나타납니다.
번지점프나 암벽등반처럼 발 아래 허공이 직접 보이는 상황에서는 시각 정보가 곧바로 편도체를 자극합니다.
반대로 비행기나 아파트 실내처럼 시야가 폐쇄된 환경에서는 편도체가 덜 활성화됩니다.
전전두엽은 편도체가 울린 경보를 “그렇게 위험하지 않아”라고 진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비행기 탑승 시 “수많은 사람이 타고, 매일 수천 편이 안전하게 운항된다”는 인지적 근거가 작용해 불안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번지점프처럼 자신이 직접 허공에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전전두엽의 진정 신호가 약해집니다.
뇌는 ‘내가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느끼면 불안을 훨씬 덜 느낍니다.
암벽등반은 손·발로 직접 잡고 움직이는 ‘주도권’이 있어서 일부 사람은 버틸 수 있지만, 번지점프는 완전히 몸을 맡겨야 하니 더 무섭습니다.
비행기는 조종권이 없어도, ‘전문가가 운전하는 차량’ 같은 인식이 안정감을 줍니다.
아파트 거주처럼 반복 노출되면 뇌가 ‘위험 신호’를 줄입니다.
반면 비정기적으로만 경험하는 극한 고도는 뇌가 매번 새롭게 위험하다고 판단합니다.
📌 정리
고소공포증은 단순히 ‘높은 곳이 무섭다’가 아니라, 시각적 노출 + 통제감 + 안전 환경 인식의 조합에 따라 뇌가 위기 경보를 울리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같은 사람이라도 번지점프는 못하지만, 비행기나 아파트, 바이킹은 탈 수 있는 거죠.
지 같이 선택적 고소공포증 이라 할말이 없노ㅅㅂㅋㅋ
무학님 | 25.08.11 | 조회 : 104 | 추천 : -
보햄 | 25.08.11 | 조회 : 71 | 추천 : -
클린유저1 | 25.08.11 | 조회 : 91 | 추천 : -
무학님 | 25.08.11 | 조회 : 298 | 추천 : +3
노정의 | 25.08.11 | 조회 : 175 | 추천 : +2
보햄 | 25.08.11 | 조회 : 396 | 추천 : +2
테테전초보 | 25.08.11 | 조회 : 93 | 추천 : -
물형래 | 25.08.11 | 조회 : 323 | 추천 : +1
나무말고숲본다 | 25.08.11 | 조회 : 143 | 추천 : -
용용살겄지 | 25.08.11 | 조회 : 115 | 추천 : -
노정의 | 25.08.11 | 조회 : 145 | 추천 : -
청담동백호 | 25.08.11 | 조회 : 152 | 추천 : -
어부바 | 25.08.11 | 조회 : 102 | 추천 : +3
납견이만팬다 | 25.08.11 | 조회 : 272 | 추천 : +2
hhgg | 25.08.11 | 조회 : 80 | 추천 : -
비소리가. | 25.08.11 | 조회 : 110 | 추천 : +1
용기천주 | 25.08.11 | 조회 : 228 | 추천 : +4
무학님 | 25.08.11 | 조회 : 121 | 추천 : -
Crappy | 25.08.11 | 조회 : 314 | 추천 : +1
말갈량이포포 | 25.08.11 | 조회 : 78 | 추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