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한국의 문제와 특징 [7]

대장 흑염강림 | 25-08-13 06:06:52 | 조회 : 898 | 추천 : +4


한국은 한번 대세가 그쪽으로 기울면  급격하게 추세가 급변하는 특성이있다 

(ex 코인. 한번핫하다고 뜨자  아줌마 아저씨할아버지까지 전부 동참함 )

(ex 주식. 한번 대세가 기울면 전부 미국주식 어쩌구 x2 x3배 레버리지 불같이 다 뛰어듬  )

뭐 하나 유행한다하면 음식점이건 뭐건 다 따라하고 전부 따라함 관광지도 xxx단길 , 호떡이던 카스테라건 전부 우르르 


헬스붐 또한 마찬가지다  한번 대세로 기울자 전국민이  떼거리로 우르르 헬스붐이 일어났다 



그런데 1-2년도 안되고  왜 헬스의 인기는  금방 식어버렸다 . 그이유는 무엇일까? 


그이유는 

 이것은 바로 한국인의 특성이 있다


핵심 이유는 헬스의 보상 구조가 한국인의 소비 패턴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특성 = 한번대세가 기울면,누구보다도 빨리 다들 따라한다 

근데 한국인들은 꾸준히하는건 절대못한다 


근데 헬스는 몸이 생각보다 안좋아지거든 ㅋ6개월하면 조금 변화있음 ㅋ 몸좋아질려면 그 고행을 시간을 1년 2년 3년 버텨야하는데 

그렇게 참지를 못한다   (정당하게 노력의 댓가를 지불하지않고 늘 요령과 방법만 찾아다님) 



이건 주식도 마찬가지 ㅋ 꾸준한 3년 5년 10년  1배 주식은 절대 못참음

유행이라니까 그저 급하게 x3배 레버리지 출격 ㅋㅋ 그리고 전부 실패 ㅋㅋ 


오랫동안 지켜본 바로 이거는  국민적 특성이다.


한국인들의 성격은 왜이럴까? 눈치보기 문화와 비교 문화떄문이다. 

늘 경쟁자는 자기 자신이고 어제와 다른나를 향해 꾸준히 노력해야되는데. 자꾸 옆사람 남과 비교하니 조급해지고 참질못한다 

(안타깝지만 내가 가본 중국인의 특성과 매우 닮아있다 중국도 우르르르가 정말심하다  ) 


문화적 근본 원인 – 비교와 눈치

  • 비교 대상이 ‘과거의 나’가 아니라 ‘옆 사람’

  • 결과 지표가 단기 성과로 한정 → 조급함 유발

  • 꾸준한 과정 자체의 가치가 평가 절하

  • 중국과 유사한 집단 몰입 성향


이것은 내가 극혐하는 성격이고

나는 꾸준함이 장점이다

남이 뭐라해도 우직하게 갈길을 가는게 나의 장점이다 




물론 한국의 장점도 있다 눈치보기로 인해 절도나 단순 범죄율이 매우낮고, 눈치보기로인해 사람들이 민폐인구의 비율이 매우낮다 

눈치로인해 본인,사회 모든것에서 스스로를 옥죄고있는것이다 




한국에서 거주할거라면 

한국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나는 반대로한다면 좋은 성과를 많이 거둘수있을것이다 



SNS로 공유하기
* 구독 설정을 변경하여 원하는 게시판만 모아보세요 [변경]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