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RTX 3000 Seriese가 슈퍼 개 쩌는 이유를 araboza [6]

중위 The learned | 20-09-05 12:39:20 | 조회 : 677 | 추천 : +1


 

RTX 2080 Super의

Single Precision 10138 (11151)

 

RTX 2080 ti의

Single Precision 11750 (13448+)

 

RTX 3080의

Single Precision 25068 (29768)

 

RTX 3090의

Single Precision 29389 (35686)

 

 

Single Precision ⊂ GFLOPS

(GPU floating operations per second)

= 부동 소수점수 연산수

(글카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 지표)

 

요약 : RTX 2080 ti는 좆밥이다.


 

 

 

SNS로 공유하기
  • 일병 낙관론자5년 전 | 신고

    나와봐야 알겠지만 솔직히 기대된다.
  • 상병 봄이예요5년 전 | 신고

    2:37초의 윗 댓에 추가로 서포트를 하자면
    1. 공개된 쿠다코어는 직접량만 늘리면 가능한것이다. 말 그대로 갯수를 늘린것.
    2. 그래프로 4K 프레임 비교할때 1천번대 하이엔드와 2천번대 하이엔드 비교할때는 RT OFF 로 비교하고 나서 그다음 그래프에서 RT ON 으로 그래프에 성능찍어 보여주는데 이거 솔직히 장난질 치는거지.
    3. 성능이 2배라고 해봤자 결국은 체감 프레임. 지금 2080TI가 배그 FHD 하위 1퍼가 100이고, QHD 하위 1퍼가 60으로 아는데
    얘네가 진짜 180, 130 정도로 늘어야지 진짜 성능 2배라고 할 수 있는거 아닌가?

    + GFLOPS 높아봤자 그건 생산용도로 쓰는 넘들이 랜더링 시간 줄어드는걸로 체감하겠지.
  • 상병 봄이예요5년 전 | 신고

    이런말 하는 나도 3080 구매 예정자.
  • 중위 The learned5년 전 | 신고

    @봄이예요1. 직접량이 아니라 직접도. 직접도는 전자의 간섭 때문에 올리기가 빡셈
    2. 1천번대는 레이트레이싱이 없으니 당연한 거.
    3. GFPOPS는 생산용도 랜더링 시간 줄어드는 걸로 체감한다고 하는데,
    모든 3D 게임은 랜더링을 실시간 단위로 하기 때문에 게임에서도 당연히 체감 됨.
    랜더링 작업에 쓰이는 쿠다코어가 많을수록, 프레임은 당연히 올라감. 
  • 상병 봄이예요5년 전 | 신고

    @The learned3에 부연할 자료가 있는데.
    9백번대 -> 천번대, 천번대 -> 이천번대 일때도 똑같이 성능향상은 2배가량 이었음.
    근데 실제 그때 게임 프레임은 15~20%정도 밖에 안오름.
    당연히 이번 이천번대 -> 삼천번대도 성능향상은 2배가량이지만,
    똑같이 프레임 향상은 15~20% 정도일거임.

    물론 게임을 그래픽카드에 맞춰 쑤셔넣으면 실제로 전 세대 글카보다 성능차가 좀 더 날거임.

    참고로 이 댓글은
    https://quasarzone.com/bbs/qf_vga/views/366176
    의 요약임.
  • 중위 The learned5년 전 | 신고

    @봄이예요GFLOPS가 굉장히 유의미 한 거 같은데

    GTX 1080 ti의 Single Precision 10609 (11340)
    NVIDIA TITAN X의 Single Precision 10157 (10974)
    NVIDIA TITAN Xp의 Single Precision 10790 (12150)

    2080 출시 초기에는 1080 ti와의 성능 차이가
    얼추 GFLOPS 수치 차이와 비슷하지만,
    드라이버 최적화로 격차 더 벌어짐.

    이 점을 감안하면, Single Precision 수치가 2배가 뛰어넘으니,
    이건 보나마나 무조건 압도적으로 성능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음.
    오히려 드라이버 최적화 되면, 더 벌어질 거임.

    부동소수점수 연산수 자체가, 실시간 랜더링 연산 작업이기에,
    이 수치가 높을수록 차이가 벌어짐.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