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파워의 액티브PFC와 패시브PFC 등 [1]

대령 HighCa | 12-09-05 01:25:58 | 조회 : 3031 | 추천 : -



 

Passive PFC

Active PFC

설명

AC 입력 회로에 변압기 형태의 인덕터(Inductor)와 콘덴서(Capacitor) 구성의 부품을 추가하여 L-C 회로를 구성한 방식 입니다.

AC 입력 전압을 310~400VDC까지 상승시킨 다음, 효율을 극대화 시킨 방식으로, Control IC, MOSFET, Super Fast Diode, 제어 회로 등의 반도체를 사용한 방식입니다.

장점

* 회로가 단순, 부품 원가가 낮아 추가 부담이 적다.

* 쉽게 생산 할 수 있다.

* Active 방식에 비해 전자파가 훨씬 낮다.

* 전력 효율이 95%이상이다.

* 프리볼트 설계가 쉽다.

* 넓은 입력전압 범위 87Vrms - 266Vrms 47Hz-63Hz

* 무게가 가볍다.

* 가청 대역의 오디오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점

* 효율이 68~80% 낮다.

* 무겁다.

* 오디오 잡음 발생 가능성이 있다.

* EMI 검사통과를 위한 보호장치 요구

* 고가

* passive PFC 보다 높은 고압의 부품이 사용.

 

또한 80+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역율이 0.9이어야 하는데 효율상 Active-PFC 회로가 아니면 받기 힘들다고 합니다.

(역율 : 전체전기에서 유효전력의 비)

 

80+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

부하

80 plus

bronze

silver

gold

Efficiency

 

 

20%

80%

82%

85%

87%

50%

80%

85%

88%

90%

100%

80%

82%

85%

87%

Power Factor

50%

0.9 (100% 부하)

   0.9

 

아래 사진은  참고로 파워렉스 Active PFC 450W 내부 사진을 올립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반 파워에 비해 방열판이 작습니다. 그만큼 발열량이 작다는 것이겠죠.

또한 사진 아래쪽에 보시면 대부분 대형 콘덴서가 한개 보이는데, 일반 방식은 보통 200V 콘덴서를 2개

사용합니다. 렉스파워에 사용한 콘덴서는 400V 1개 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내압이 높은 제품을 사용

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 퍼옴 - 



SNS로 공유하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