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관련 지식/정보 공유 [21]

일병 송하나팬티 | 18-07-20 15:15:00 | 조회 : 5970 | 추천 : +14


1.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도 하나의 서버, 데이터 센터에 입고되고, 서버 호스팅과는 다르게 서비스 제공자가 물리 머신, 클라우드 내부 기능들을 유지보수 해주고 일반 사용자는 네트워크만 연결된 곳이면 실제 서버(컴퓨터) 인것 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접속이 가능함.  물론 그 리얼머신은 다른 사용자들도 같이 사용중이며 한 사용자가 CPU 많이 소모되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 머신 안에 설치되어 있는 Hypervisor 영역 (여기서부턴 블랙 박스 영역이라고 함) 에서 모든 일반 사용자들에게 CPU 사용량 제한을 검.

 

블랙 박스는 내가 접속해있는 원격 PC 가 내부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등. 내가 몰라도 사용하는데 지장 없는 영역이라 생각하면 됨


네이버 엔드라이브는 공간(25GB) 만 제공하는 형태이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은 즉 리얼 머신을 일반 사용자에게 갖다 쓸 수 있게 해주는 거라 생각하면 됨.  


 

용도는 개인용도/회사용도로 나눠질 수 있는데


개인용같은 경우 

 

개인용 원격 PC, Network 연결된 곳이면 언제든 내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고

 

뭐 여기다가 마크서버 구축하고 IP 포트 만 알려주면 다른 사용자들은 IP 포트만 받아서 친구들끼리 마크섭이 될수도 있는거고

 

그 외에도 편한건 아래사진처럼 다른 PC 에서 내 원격 PC에 접속하는것이니 카톡 재인증 하지 않아도 됨 난 이거 하나 때문에 클라우드 만원짜리 하나사서 쓰고있음

 

싸지방에서도 가끔 이렇게 자기 rdp 들어가서 카카오톡 하는 사람 몇명 있다고 하는것 같은데 좀 위험하지 않나 싶음 


1.PNG



회사용같은경우

 

회사홈페이지WAS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게임서버, 등 자사 운용 서비스를 클라우드 안에다가 돌리고 그럼

 

대표적인 서비스 업체같은 경우

 

해외에는 DigitalOcean, Linode, Amazon Ec2, Amazon Lightsail

국내에는 ucloud server, 스마일서브(와고가 여기씀 ) , NCloud(네이버 클라우드) 


이 서비스 업체들의 공통점이 IaaS 를 제공한다고 보면 됨. 몇몇 업체는 또 PaaS, SaaS 까지 제공하는 업체도 있음 . 

 

IaaS - 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what-is-iaas/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저장소 네트워킹, 데이터 센터 건물 등.

 

비용은 싼곳은 한달 5천원, 비싸게는 10만원, 20만원까지 가기도 함.물론 비쌀수록 성능, 회선, 트래픽을 더 많이 줌

 

내가 추천하는건 회선 적당히 좋으면서 트래픽 넉넉하게 주는 DigitalOcean, Linode 가 좋지 않나 싶음. 이 중에서 우리나라랑 회선 좋은건 Linode 일본 Region 이 좋다 생각함 

 



 

 

2. 서버 호스팅


서버 호스팅은 

 

- 서버 입고를 위한 물리적 공간 - 서버 하나당 보통 크기는 1U (높이 4.5cm) 

- 서버가 인터넷 연결을 위해 필요한 IP 주소, 회선, 트래픽

- 물리적 서버, 물리적 서버에 OS 설치 ( 내가직접 IDC 가서 서버에 콘솔 꽂아서 OS 설치 해야하는경우도있음)

- 물리적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ID,PW 제공


여기까지가 기본적으로 제공됨. 클라우드랑은 다르게 이 서버는 나 혼자만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라 생각하면 됨

 

부가적으로 네트워크 방화벽이나 OS 설치, 기술자가 직접 기술지원 해주는 서비스는 되는곳도 있고 안되는곳도 있고 선택 사항임.


내가 서버 호스팅을 받고 싶다면


통큰아이, KoreaIDC 같은 곳에서 서버 호스팅 신청을 하면 되고,

 

서버 , 회선,  또 추가적으로 OS가 윈도같은 경우 한달에 비용이 더 청구될 수 있으며 한 서버당 한달에 7~12만원 정도 나온다 생각하면 됨


통큰아이 1년반정도써봐서 그냥 통큰아이 이미지를 예로 들어봄. 이미지 출처 tongkni.co.kr

 

 

 

 

2.PNG

 

저거 비용 관련은 통큰아이 사이트에 직접 물어보는게 더 좋음 지금 좀 바꼇을수도 있어서

 

서버 호스팅에서 우선적으로 볼건

 

CPU,Ram, 저장공간, 회선, 트래픽 .

회선 - 최대 몇 기가 속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트래픽 -  트래픽은 인터넷 사용량, 즉 네트워크 패킷 데이터 양이고 , 내가 한달동안 평생 30Mbps 속도를 보장한다는 얘기이고,  한달에 9.72 TB 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 여기서 9.72 TB가 넘어가면 초과비용이 나오게 됨


만약 이거로 신청하게 된다면

 

비용 어떻게 낼건지 , 패스워드 어떤거로 할건지, OS 뭘로 깔건지 그런것들 물어보고 

 

서버 입고는 언제 됨니다 를 너에게 얘기 해줄거고 IDC(데이터센터) 위치는 어디어디(주소) 이며 만약 방문하고 싶을실때 이쪽 연락처나 게시판에 방문목적, 방문자 이름 써주면 따로연락준다  이렇게 된다 보통


 

 

요즘은 idc 보단 클라우드를 많이 씀. 직접가서 설치하고 그러지 않아도 되거든. 

 

여담으로 IDC 는 여름  피서지일정도로 에어컨이 빵빵해서 시원하고 좋았음 ㅋㅋ 

 



 

SNS로 공유하기
  • 중장 모모。7년 전 | 신고

    잘 읽었습니다. 이런 기술력이 있고 어떻게 분류되는지 잘 배웠습니다.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모모。감사함니다
  • 소령 담배킴7년 전 | 신고

    추천후 정독해봅니다
  • 소령 geronimo7년 전 | 신고

    예전 제로클라이언트가 지금의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생각하면 되나요? 헷갈림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geronimo제로 클라이언트 -> 호스트 PC 안에 있는 Hypervisor VM 에 연결하고, 호스트 PC 에 가상화(Hypervisor) 환경이 들어가면.. 비슷한것 같아요. 봤는데 저도 조금 헷갈리네요 ㅋㅋ
  • 준장 Masis7년 전 | 신고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도 내가 os를 설치해야되나요?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Masis리눅스 , 윈도우 이미지가 설치된 형태로 제공됩니다. 버전별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보통 리눅스가 제일 많이 제공되고 윈도우를 제공하지 않는곳도 있습니다
  • 준장 Masis7년 전 | 신고

    @송하나팬티ㅜㅜ 렌더머신같은걸 생각했는데 유의미한스펙은 가격대가 비싸네요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Masis구글이나 aws 에서 gpu 호스팅은 가격대가 나갈겁니다 그래도 그만큼 gpu 는 좋은것 쓰는것 같아요 딥러닝에도 쓰이는거보면
  • 하사 sliming127년 전 | 신고

    일단 ㅇㄷ
  • 일병 피카츄와오안7년 전 | 신고

    흠 추가설명을 하자면

    보통 일반이이 많으 쓰거나 또 관심을 같게되는경우는

    웹사이트 서버를 클라우드로 쓰던가 아니면 뭐 개인서버 든지는 관리도 귀찮고할대

    쓰는경우가있고 본인같은경우는 스팀게임 서버들 개발하고 운영하느라고 관련지식을 파봄

    본업은 웹개발자임.


    한자기 씹개꿀팁을 주자면 

    네이터 클라우드 (n드라이브아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이라는곳에서

    결제 방법 인증만하면 30만 크레딧 그냥 준다 지금 

    가서 30만받아서 서버한번 간단하게 돌려보면 되 그냥 컴퓨터 라고 생각하면되고.

    또 1년동안은 micro 서버라고 1cpu 1g 램 의 서버를 무료로 빌려줌
    (다만 공인 아이피는 사야되 리눅스는 무료고 윈도우는 라이센스비가 붙음)

    뭐 리눅스에 서버깔아서 웹서버로 써도되고

    xrdp 설치해서 스팀게임 서버로 이용해도되고

    한번씩경험해보고 급식들은 클라우드 이쪽 서버 쪾이 공부하다보면 먹고사는데

    지장은없을듯









    3줄요약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지금 30만 크레딧줌
    가서
    해봐라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피카츄와오안그거 개꿀이죠 ㄹㅇ

    트래픽만 펑펑안쓰면 ㅋㅋㅋ
  • 이병 나쁜딸쟁이7년 전 | 신고

    그래서 배그중옵 견적좀
  • 대령 RuaL.Crazy7년 전 | 신고

    파이어베이스로 서버 돌리는거만 살짝 배웠었는데 
    나름 재미있는거같아서 클라우드 쪽으로 진로 정하고 싶은컴공학생인데요 
    어떤 자격증을 따면 좋을까요 ??
  • 일병 송하나팬티7년 전 | 신고

    @RuaL.Crazy자격증이라.. 만약 한다면 리눅스마스터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 자격증 보단 아래 있는 키워드가 좀 더 괜찮을 것 같아서 몇개 알려드릴게요.

    devops - docker, jenkins ci, kubernetes(얘가 좀 어렵다면 docker swarm)

    devops 안에 보통 저런 키워드들이 카테고리에 들어가고.. 직접 서버에 구축 해보면서 하나씩 사용해보고, 카카오나 네이버 d2 자료 보면서 docker 같은거 어떻게 사용하고 있나 글같은거 보면서 천천히 알아가는 식으로 하면 될것 같습니다

    저도 공부중이라 아직은 좀 부족하네요 ㅠ

  • 대령 RuaL.Crazy7년 전 | 신고

    @송하나팬티와.. 그냥 서버 돌리고 이런게 재밌어서 한번 파보려고 했는데 복잡하네요 ㅋㅋㅋ 
    그래도 재미있어서 한번 노력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