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드라이버 순서 할당시키는거 질문 있습니다 [7]

소장 주경야동 | 18-11-30 14:41:55 | 조회 : 304 | 추천 : -


1.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D로 사용했던 하드를 1번이라고 하고 E로 사용햇던 하드를 2번이라고 하겠습니다



제가 D, E로 잡고 있었던 HDD 드라이버 두개(1, 2번)을 어디 쓸데가 있어서 오랜시간 빼놓앗다가 지금 다시


연결시키려는데 제가 실수로 2번 하드를 D로 연결되있던 선에 꼽아서 그 하드가 D로 인식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그 하드를 빼고 1번 하드를 D로 연결되있는 선에 꼽고 2번 하드를 E에 연결되있던 선에 꼽았는데 2번하드가


D로 되있고 1번 하드가 E로 되어 있는겁니다. 이거 왜 이러는건가요? 분명히 D로 연결시켰던 사타포트는 1번에


연결되어있고 E로 연결시켰던 사타포트는 2번에 꼽아져 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1번 포트에 연결되있는 드라이브가


D로 잡혀야 하고 2번포트에 연결되있는 드라이브가 E로 잡혀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제가 잘못 알고있는건가요?


혹시 오랜시간 빼놧다가 다시 연결햇을때 1번포트에 꼽힌 2번 하드를 계속 D로 인식해서 1번 하드는 아무리


1번 포트에 꼽아도 E로 밀려난건가요?




2. 만약에 그렇다면 이거 다시 설정하는 방법 좀 알려주실 수있나요? 가라로 바꾸는방법 말고 정식으로 바꾸는 방법이요


1번 포트에 꼽힌 하드를 D드라이브하고 2번 포트에 꼽힌 하드를 E로 설정하고 싶습니다.



포트 순서는 제가 메인보드 구매처에 물어봐서 확실합니다. 0번은 지금 C로 사용하고 있는 스스디에 꼽아져 있고요.

SNS로 공유하기
  • 이병 Looks7년 전 | 신고

    지금 d를 g로 바꾸고 e를 d로 바꾼뒤 g를 e로 바꾸면 됨.
    드라이브 할당은 그냥 이름바꾸기에 불과함..
  • 이병 Looks7년 전 | 신고

    설명하자면 c드라이브에 운영체제가 깔려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하드를 장착하면 d로 할당이 자동으로 들어가버림.
    아마 오랜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기간동안 os의 셋팅이 바뀌었을거 같음. 그래서 새 하드로 인식해서 d로 할당. 나중에 하드를 e로 할당한 상태. 그래서 케이블 위치를 바꿔도 이미 인식된 상태이기에 자동으로 바뀌진 않는것 같음.

    위에서 말했듯이 드라이브 할당은 윈도우에서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것이기 때문에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없는 부분임.

    파티션이나 드라이브 이름 바꾸는거 찾아서 그냥 바꿔주면 전혀 상관없는 문제여
  • 소장 주경야동7년 전 | 신고

    @Looks아 그런거임? 근데 오랜기간 동안 oS의 셋팅이 지 스스로 자동으로 바뀌는거임? 저 두 하드를 빼고 스스디를

    내가 포맷을 한번 하긴 했거든..
  • 이병 Looks7년 전 | 신고

    @주경야동포맷을 햇으면 새 윈도우 - 깨끗한 상태 - 저 두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상태가 됨.

    그 상태에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인식하니 당연히 os에서는 어? 새로운 저장장치네? c드라이브는 이미 있으니
    d드라이브 할당. 그다음 인식된놈은 어? 또 새로운 놈이네? d드라이브는 할당했으니 넌 e드라이브 할당.

    이런식으로 되는거임.
  • 소장 주경야동7년 전 | 신고

    @Looks오 그런거구나.. 아 그리고 나도 한번 알아봣는데 하드 드라이버 삭제후 포트 하나에 먼저 d로 인식할 하드 

    연결하고 그거 인식된다음 다른포트에 남은거 연결하면 e로 인식된다고 이렇게 물리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뭐가 더 컴퓨터에 좋은거임? 성능적으로 컴퓨터에 더 좋은 방법이 뭐임? 
  • 이병 Looks7년 전 | 신고

    @주경야동성능적으로 하등 차이 없음 ㅋㅋ 일반적으로 속도차이는 sata 규격같은 포트 자체의 지원 규격에 따른 속도차,
    제품 자체의 속도차로 인해 발생하지 일상영역에서의 메인보드 sata 케이블에 연결된 동일 규격의 하드에서
    속도차이가 체감날 정도로 발생한다거나 유의미한 정도의 성능차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함.

    하드드라이버 삭제 그런거 할 필요없이 윈도우 검색-> 파티션 -> 드라이버 문자 변경 으로 변경하기만 하면됨.
    니가 말한 하드드라이버 삭제는 윈도우에 인식된 하드드라이버 자체를 삭제시켜서 재 인식 시킨다는건데
    뭐하러 그런 번거로운 짓을 ㅋㅋ
  • 소장 주경야동7년 전 | 신고

    @Looks오 그렇구나.. ㅇㅋㅇㅋ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