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영상편집용 견적인데 한 번 봐주세요!! [10]

중령 활강임 | 19-06-10 10:28:45 | 조회 : 458 | 추천 : -



게임은 롤정도밖에 안하구요

7월까지 기다릴 수 가 없고 지금 당장 맞춰야해서 ㅠㅠ

영상편집용입니다 글카를 최대한 낮추고 다른거 올렸는데 괜찮을까요?

SNS로 공유하기
  • 중령 활강임6년 전 | 신고

    가격은 모니터까지 230입니다
  • 중장 모모⠀6년 전 | 신고

    230만원 한도 추천견적 수정본입니다
    https://pc.pping.kr/estpopup/44663
    약간의 제조사들만 변경해봤습니다
  • 중령 활강임6년 전 | 신고

    @모모⠀감사합니다 ㅠ 모모님 견적보고 짜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그리고 질문 몆개만 드리고싶은데.. 봐주시면 감사하겠씁니다

    1. 영상편집하는데 cpu는 정품이이 벌크보다 낫다고하는덴 상관없을까요?
    2. 메모리는 16gb 2개에서 1개로 바꾸셨는데 영상편집에는 램용량많은게 낫지않나요/?
    3. 모니터바꾸신 이유좀 알수있을까요
    4. ssd도 m.2방식이 편집에 좀더 효율적이라든데 상관없을까요?
    시간내주셔서 봐주셨는데 이 것도 봐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중장 모모⠀6년 전 | 신고

    @활강임제가 잠시 외출중이라 집에 돌아가는대로 추가 답변 드리겠습니다
  • 중령 활강임6년 전 | 신고

    @모모⠀감사합니당
  • 중장 모모⠀6년 전 | 신고

    @활강임어제 답변 드리려고 했는데 밤늦게 귀가하는바람에 오늘 늦게나마 답변 드립니다.
    우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 많이 반영된 답변임을 말씀드립니다.

    1. cpu자체는 똑같은 모델이고 a/s기간 + 구성품에서 차이가 있을뿐이라 벌크제품도 상관없습니다.

    2. RGB감성도 원하시는것 같아서 램방열판을 빼버리고 튜닝램 계열로 구성해드렸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취미활동으로 하는 영상편집용 프로그램은 16GB도 충분하리라 판단해서 32GB에서 수정했습니다. 물론 램이야 많으면 많을수록 좋으니 본인이 판단하셔서 한셋트 더 추가해서 주문하시길 바랍니다.

    3. 단순히 예산 한도내에서 본체금액이 상당히 저렴하게 뽑히는 바람에 모니터 체급을 올렸습니다. 남은 예산안에서도 충분히 대기업 제품을 갈수있는대 굳이 중소기업 제품을 선택할 필요성을 전 개인적으로 못느꼈기 때문에 삼성제품으로 올렸습니다.

    4. 테스트 제품은 WD BLACK 3D nvme m.2 ssd(1TB) vs WD BLUE 3D SSD(1TB) 입니다. (자료출처 퀘이사존)
    - 무손실 압축 4k 작업시 = nvme m.2 vs SSD 비교 / 약 32% 시간단축
    - 무손실 압축 1080p 작업시 = nvme m.2 vs SSD 비교 / 30프레임시 약25%단축, 60프레임시 약32%단축
    - H.264 코덱 4K 렌더링 작업시 = nvme m.2 vs SSD 비교 / 차이없음
    - H.264 코덱 1080P 렌더링 작업시 = nvme m.2 vs SSD 비교 / 차이없음
    가장 대중적인 H.264 방식으로 작업했을때 차이없기때문에 이것또한 본인의 선택에 맡기겠습니다.
    여유되시면 nvme m.2버전으로 가셔도 되지만 무압축 방식에서만 작업처리 속도차이가 날뿐 흔히 사용되는 H.264방식에선 일반 SATA버전의 SSD와 처리속도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 중장 모모⠀6년 전 | 신고

    4번 추가설명

    무손실압축은 다수가 참여하는 프로젝트 작업이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의해 영상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무손실압축의 가장 큰 특성이 렌더링을 통해 생성된 파일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CPU가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저장매체 성능의 한계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이 작업하는 방식인 H.264 코덱으로 렌더링 작업 시 저장매체 성능 차이는 느끼기 힘들다는 점 때문에 제가 일반 SSD로 낮춰서 마진을 남기고 그걸로 다른쪽에 좀 더 투자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H.264 코덱 렌더링 작업 방식은 매우 높은 데이터 압축 효율을 제공합니다.H.264로 영상 추출 시 파일 용량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데요. 압축 효율이 크고 용량이 원본 소스 영상보다 획기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nvme m.2 SSD나, SATA SSD 
    제품 모두 아주 근소한 차이는 있었으나 결국 체감이 날 정도의 결과는 아니었기 때문에 일반 SATA SSD으로 작업환경을 구성하셔도 무리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중령 활강임6년 전 | 신고

    @모모⠀간단한 답변 기대하고있었는데 자세하게 실제 예까지 적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ㅎㅎ!! 모모님이추천주신견적에 램만 추가해서 결제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리며 유투브도 구독하고가겠습니다~~
  • 중장 모모⠀6년 전 | 신고

    @활강임감사합니다 :) 
  • 대령 아크자6년 전 | 신고

    @활강임램은 두장인데 안올린거같네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