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3300x vs 3500x 명쾌한 정리. [24]

준장 뽀앙 | 20-05-13 15:06:54 | 조회 : 13938 | 추천 : +15


0. 출시 직후 및 테스트 이전에서의 의견

4코어는 그래봤자 4코어다 라는 생각들 팽배했고 3500x보다는 아래일 것이라는 의견이 100%였음. 여러 IT유튜버들 다 그런 생각이였고 나도 그랬고 13만대 이하 급 아니면 메리트 없을거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음. 지금도 3500x가 6코어 이상 작업에서의 성능은 더 우수할 거라 생각하는 사람 꽤 있음. 


1. 테스트 후

4코어 이하의 작업에서는 3500x를 눈에 띄게 이겨버리고 6코어 이상의 작업에서도 1%이내로 엎치락 뒷치락 하거나 이기는 모습을 보여줌. 그래서 모두가 놀란 거임. 

 

2. 이유가 뭘까?

첫번째, CCD 구조.

3500x는 3코어 3스레드의 CCX 2개를 쓰기 때문에 통신하는 과정에서 레이턴시가 발생함.

3300x는 4코어 8스레드의 CCX를 싱글로 쓰기 때문에 통신간 레이턴시가 획기적으로 줄어듬.

이 구조 차이가 생각보다 성능 향상이 어마어마했던 거임.

참고로 라이젠 7 3700x에 4코어 8스레드 CCX가 2개 들어감. 그러니까 3300x는 라이젠 7에 들어간 기술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는 거임.

 

두번째, 하이퍼스레딩 최적화.

하이퍼스레딩이라고 다 똑같은게 아니다. 하이퍼스레딩은 통상 2~30%정도의 멀티코어 성능 향상과 10%이하의 싱글 코어 성능 하락이 있는데 3300x의 경우 예상보다 더 최적화를 잘해서 멀티코어 성능 향상은 최대로 가져가고 싱글코어의 성능 하락은 최소한으로 막은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향상된 클럭.

따로 말할게 있나 클럭이 향상된 만큼 성능 잘 나오는건 당연함.

 

3.결론

4코어에 예상을 뛰어넘는 풀템을 맞춰줘서 6코어 보다 좋음.

SNS로 공유하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