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서울시립미술관 7급 공무원의 죽음과 업무분장 [7]

소장 앵땅상겨동알 | 21-02-10 00:29:27 | 조회 : 2050 | 추천 : +4



서울시 7급 공무원 일로 설왕설래가 많길래...

일단 돌아가신 분께는 명복을 빕니다.

 

1. 공무원 조직 서무의 업무

과별로 팀별로 업무가 다르니 공무원 업무가 딱 짤라 이거다 말 할 수 없지만...

보통의 사업부서의 팀이라면 사업담당자 + 업무지원담당자로 구성됨

업무지원 담당자 중에는 필수적으로 서무가 있으며, 보통의 경우 행정직 7~9급이 맡게 됨

그 업무분장을 보면 예산, 결산, 공문, 의회, 급여, 기타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는 업무 이런식으로 구성됨

그 팀의 규모가 크거나 하면 이 내용도 두셋이 나눠가짐

 

2. 박물관(미술관)의 구성

박물관 규모나 특성 등에 따라 판이하게 다르지만

예를 들어 광역시도 정도로 생각하면

본관+몇 개의 분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개별 분관은 뮤지엄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광역시도 중소규모로 생각하면 10~15명 정도의 구성임


3. 박물관(미술관)의 인적구성

10~15명이라고 보면

환경미화 2~3, 경비 2~4, 안내데스크 2~4 정도가 됨

그럼 사무실 직원은 관장1, 학예2~3, 행정1, 시설 1 정도가 됨

그 외에 학예보조로 기간제나 무기계약직(요즘은 공무직)이 2~4 정도 

혹은 그 해의 업무에 따라 추가 변동되기도 함

 

4. 업무분장

관장1, 학예2, 행정1, 시설1  정도로 기본 공직 구성이 돌아간다고 하자

(여기에 위에 말한 학예보조 별도)

그럼 이들의 업무분장은


관장 : 총괄

학예1 : 전시, 교육, 특별전, 대외교류 등 대외학예업무

학예2 :  수장고관리, 유물관리, 자료조사 등 대내학예업무

행정 :  예결산, 의회, 급여, 공문, 물품관리 등 행정업무

시설 : 전기, 기계, 냉난방, 차량 등 시설업무

 

이런 식으로 구성됨

 

5. 행정직의 업무분장

이러한 행정직이 맡는 업무를 서무업무라 하는데

여기에는 특정되지 않은 기타 다른 업무를 모두 포함함

이 때의 서무업무는 예산집행을 혼자하고, 결산을 혼자하고, 급여지급을 혼자하고, 물품관리를 혼자하는 것이 아님

각자의 사업과 업무에 따른 예산집행, 결산, 사업진행 등은 각자가 하고

그걸 서무가 정리하고 종합하여 취합부서로 보내는 역할을 함

공문 역시 그것을 개별 담당자한테 배정하고 그것을 다시 모아서 보내는 역할을 함

급여는 회계, 총무, 인사부서 등이 아닌 이상 급여와 연관된 같은 부서(팀)의 초과근무, 출장 등 

급여와 관련된 지출에 대하 내용을 정리하고 보내는 역할을 함

 

6. 학예업무

보통의 학예파트는 관련학문을 전공한 석박사 혹은 경력자들이 맡아서 함

역사자료나 미술품 등을 만지고 다루는 일은 학예파트의 일이고

행정이나 시설이 관여할 수 없는 업무임

상식적으로 공무원 되어서 그 부서에 갔다고 아무나 국보보물 만지고 그래도 되는 건 아니듯이

그걸 다루는 전문집단이 학예파트임

 

7. 1년만에, 신입이......

이러한 행정서무의 역할은 보통 7~9급 사이의 행정직이 맡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학예진으로만 구성된 팀에서는 막내가 맡게 되는

가장 수월하고 가장 기초적이며 가장 어렵지 않은 일임

상식적으로 전시를 만들고 유물을 조사하고 하는 일이 어려울까

그 사람들이 하는 일을 문서화해서 만들어주면 그걸 모으고 뿌리는 일이 어려울까

 

8. 실제 예

우리 팀의 9급 신입막내가 저 행정서무를 맡음

업무분장도 똑같음

우리 팀에서 유일하게 야근 안 함. 

나도 막내 때, 서무 맡아서 저 일 함

 

8. 결론

서울시 7급공무원 분께서 자살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저 업무분장을 보고 잘 못 되었다고 하는 사람들은...

공무원은 아니고, 박물관 일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일 뿐

저걸로는 절대 업무분장이 잘 못 되었다고 할 수 없음

 

 

* 설명을 편하게 위해 작은 박물관을 기준으로 설명했는데

규모가 큰 박물관은 저 인원이 개별팀 정도의 인원으로 보면 됨

그런 팀들이 여러개 모여있는 거고

그러면 전시과, 교육과, 유물관리과, 보존처리과, 조사연구과 등등으로 여러 과(팀)이 모여서 하나의 박물관이 됨

 

 

 

 

 

SNS로 공유하기
  • 삭제된 댓글입니다.
  • 소장 앵땅상겨동알5년 전 | 신고

    @병신보면울어버림공무원이구나! 
    뭐 말단팀 서무면 이호조 합본도 안 만들지.
    보조자료나 몇 번씩 합치고 뿌리고 하겠지. ㅋ
  • 이병 나르햐5년 전 | 신고

    갠적인 생각으로는.

    시험머리는 출중해서 7급에 떡하니 붙었다만,

    일머리가 없는것 같은데.

    그래서 쉬운일도 복잡하게 혼자 멀리 돌아돌아 오다가 ( 마인크래프트 초보자가 길 잃어버리듯이 ) 
    일이 폭망해서 번아웃와서 멘붕!! 펑!!

  • 대령 Jz5년 전 | 신고

    업무분장보면 9급이나 공무직들이 해야될일 짬처리 당한거 같은데
  • 소장 앵땅상겨동알5년 전 | 신고

    @Jz같은 부서나 팀에 행정직이 여럿인 규모면 모를까
    우린 전에 7급행정이였다가, 지금은 9급행정이고
    인력배치에 따라 7급이고 8급이고 9급이고 그런게 아니라
    그냥 행정실무자 1명의 개념임
    그리고 공무직은 저런 일 못함. 문서접근권한이 저기까지 안 감
  • 소령 rnfkfkfk5년 전 | 신고

    진짜 이런분들 보면 시간 되돌려서  그냥 그만두고 하고싶은거 뭘해도 상관없다고 말한마디 해주고싶네
  • 대령 다사나라5년 전 | 신고

    @rnfkfkfkㄹㅇ ㅈㄴ 안타까움
  • 소장 앵땅상겨동알5년 전 | 신고

    @rnfkfkfk그러게... 참...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