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문재인이 임기 끝나기전 급히 한것 [ 검 수 완 박 ] [1]

대령 코끼리젓가락찢기 | 25-07-02 11:33:00 | 조회 : 248 | 추천 : +1


문재인 대통령 임기 종료 직전 추진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은 많은 논란을 낳았고,


불순한 의도였는지에 대한 의혹과 비판도 존재해왔습니다.


🔷 1. 사건 개요


  • 시기: 2022년 4~5월 (문재인 대통령 임기 종료 직전)

  • 내용:

    • 검찰의 직접 수사권을 6대 범죄 → 2대 범죄(부패, 경제) → 완전 폐지로 축소

    • 수사권·기소권을 경찰과 공수처 등으로 이관

    • 형사소송법 및 검찰청법 개정

    •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이 즉각 공포



🔷 2. 민주당 및 문재인 정부의 주장

  • 검찰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고, 이를 견제할 필요가 있다.

  • 검찰이 정치적 수사를 해온 전례가 많아, 수사·기소의 분리가 필요하다.

  • **‘검찰개혁’**은 촛불시위 정신의 연장선이고, 시대적 과제라고 주장.



🔷 3. 제기된 비판 및 문제점

비판내용
🕳️ 시기 문제임기 종료 불과 며칠 전에 강행한 점에서 ‘정권 보호용 입법’이라는 비판 제기
⚖️ 권력 감시 약화검찰의 직접 수사 기능 축소로 인해 권력형 비리 수사 차단 우려
🧩 절차적 문제국회에서 ‘회기 쪼개기’, 법사위 기습 처리비정상적 입법 절차 사용
🧱 견제기능 약화경찰·공수처로 권한 이관했지만 견제 장치 부재 및 수사력 의문
🤔 자기모순과거 문재인 정부가 검찰에 특수수사를 시킨 전례가 있음 (울산시장 선거개입 수사 등)

🔷 4. 불순한 의도 의혹

다음과 같은 정황들 때문에, 정치적 동기 또는 자기방어성 입법이라는 비판이 제기됨:

  • 당시 여권(문재인 정부 및 민주당)이 여러 수사 리스크에 직면한 상황

    •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

    • 월성원전 조기폐쇄 사건

    • 청와대 인사 사찰 의혹 등

  • 검찰 수사가 향후 정권 교체 후 본격화될 것을 우려해 사전에 차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

  • 검찰총장이 공석인 상황에서, 권한 구조를 급히 바꾸려 했다는 점도 의혹을 키움



🔷 5. 결론: 불순한 의도였는가?

  • 표면적 명분은 검찰 개혁과 권한 분산이지만

  • 시기, 방법, 정황을 보면 정치적 목적이 뒤섞인 입법이라는 의혹은 타당성이 있음

  • 헌법재판소도 일부 위헌 판단을 내렸고,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재개정 시도가 이어짐



    ---------------------------------------------------------------------------------------



      1. 한명은 검찰수사못하게 막아버리고


      1. 한명은 아예 재판 못받게 막아버리고


      캥기는게 많으니 법 앞에 평등하지않고 법 위에 서려 하는구나.





image.png


SNS로 공유하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