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공익이 무엇이라고 생각함? [6]

일병 솔직히인기남 | 13-10-01 21:48:35 | 조회 : 894 | 추천 : -


내 과제라서 물어보는 건 아님
SNS로 공유하기
  • 중장 웅진코웨이12년 전 | 신고

    공익이란 말그대로 '다수에게 이로운 것'이겠지.
  • 중장 웅진코웨이12년 전 | 신고

    '행정'이 무엇인가 라는 레포트쓰던시절 생각나네...
  • 일병 솔직히인기남12년 전 | 신고

    공익이 다수에게 이로운 것이라고 하면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도 다수에게 이로우니 공익이냐? 이렇게 반문해서 안뎀
  • 중장 웅진코웨이12년 전 | 신고

    @솔직히인기남그럼. 공익의 면이 있는 것이지. 갤럭시 스마트폰이라는게 민간재로써 기업의 이윤창출을 위한 하나의 사적재에 불가할 수도 있지만 여러 국민들이 사용하게 되는 이상 '공익'적 요소도 내포하게 되는거지. 만약 삼성이 갤럭시스마트폰을 판매하다가 OS를 아주 병신같은걸로 업그레이드시켜버리거나 스마트폰 자체에 큰 결함이 생겨 사용에 지장이 생긴다면 그것 자체로도 공익을 저해시키는 것이지.
     공익이란 개념은 말그대로 넓은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니가 물어본 취지에서 기업의 이윤창출행위도 공익으로 봐야 하는가?라는 물음에는 공익적 요소가 내포되는 것이고. 넓게보면 그렇다는 것이지. 
    굳이 세분해서 분류하고 싶다면 정부활동(행정)or기업활동(경영)으로 나뉘어서 행정쪽의 공익개념을 포커스에 두고 싶다면 행정쪽으로 애초에 물어보는게 맞을 것이고. 
    그리고 애초에 행정과 경영은 서로 다른점도 많지만 같은점도 많은 법이라서...
  • 소장 The learned12년 전 | 신고

    공익이 영어로 the public good이다.

    실제로 공익이라는 단어는 외래어를 쪽바리들이 번역해서,

    그걸 우리가 지금 껏 쓰고 있는 거다.

    public과 good을 잘 따지면 레포트 쓰는 데 충분할 거다.
  • 이병 돌캣12년 전 | 신고

    공익에 관해서는 두가지 학설이 대립.
    개인의 합=전체집단
    개인의 합<전체집단

    학과가 어디냐에 따라서 좀 더 정확한 답을 할 수 있음.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