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정관용> 박근혜 후보는 왜 대통령이 되면 안 됩니까?
▷유시민> 저는 두 가지 이유를 들지요. 이게 뭐 적대진영에 있으니까, 경쟁진영에 있으니까 공격이다, 이렇게 볼 수도 있지만.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첫 번째로는 무섭고요.
▶정관용> 무서워요?
▷유시민> 예, 두 번째는 걱정이 너무 많이 돼요.
▶정관용> 무섭다는 것은 왜 무섭습니까?
▷유시민> 박근혜 씨가 대통령이 되면 사람들이 무지하게 감옥 갈 것 같아요. 우선 선거 과정에서 뭐 공격하고 비판하고 했던 사람들부터. 문재인 씨가 대통령이 되면 그럴 일 없을 것 같은데. 이 이야기는 집권 기간 내내 그런 일들이 반복될 거라는 뜻입니다.
▶정관용> 보복할 거라고 보신다?
▷유시민> 보복뿐만 아니라...
▶정관용> 권력을 휘두를 거라고 보신다?
▷유시민> 예. 왜냐하면...
▶정관용> 안 하겠다고 계속 그러는데요, 지금?
▷유시민> 논리나 말로 타인을 이렇게 설득하거나 이렇게 해내지 못하는 사람은 결국 힘을 쓰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 점이 좀 무섭고요. 이명박 대통령보다 훨씬 더 심할 거다, 그렇게 봐요. 두 번째 걱정이 되는 것은 이분이 밝은 지도자가 아니에요, 이치에 밝은. 그러니까 이치에 밝은 지도자라야 아랫사람이 속이지 못해요. 장관만 하더라도 삐끗하면 속거든요. 대통령이 되면 엄청나게 많은 문제들을 다뤄야 하는데...
▶정관용> 그래도 아주 어린 시절부터 퍼스트레이디 역할도 하고, 정치도 벌써 90몇 년부터 오래 해왔고.
▷유시민> 그건 의전이지요.
▶정관용> 5선 의원도 해왔고.
▷유시민> 5선 의원 하면서 입법을 제대로 한 게 있습니까, 뭐 자기 브랜드 정책이 있어요?
▶정관용> 그래도 나름대로 무슨 경험과 경륜 같은 게 있지 않을까요?
▷유시민> 아, 뛰어난 것은 있지요, 의전.
▶정관용> 아, 의전적인 면에서만?
▷유시민> 의전적인 면에서는 굉장히 뛰어나지요. 그러니까 국가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의전적 행위 양식, 이런 것들은 타인의 추종을 불허하지요. 그러나 대통령이 뭐 다 알아야 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으로...
▶정관용> 어느 정도는 알아야? 속지 않을 정도?
▷유시민> 예, 어떤 것을 보고받았을 때 이것이 상식에 맞다, 안 맞다는 판단할 수 있어야지요.
▶정관용> 알겠습니다.
▷유시민> 그러니까 저는 박근혜 씨가 대통령이 되면 소위 옛날 조선시대로 치면 환관정치, 그러니까 호가호위하는 사람들이 좀 사리에 어두운 권력자를 이용해서...
▶정관용> 알겠습니다. 무섭고 겁이 난다? 그리고 걱정된다?
▷유시민> 겁이 나고 걱정된다. 예, 그런 거지요
"전여옥"
전여옥 전 한나라당 의원이 자신이 출간한 'i 전여옥'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에 대해
"대통령감이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해 눈길을 끌고 있다.
박 후보가 정계의 입문시킨 전 전 의원은 박 후보에 대해
“내가 당에 들어와 지난 3년 동안 지켜봐 왔다.
가까이서 2년을 지켜보았다.
그래서 나는 잘 알고 있었다.
대통령감은 아니라는 것을”이라며,
“나라를 위해서 그녀가 과연 대통령직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까?
그에 대한 나의 답은 이미 정해졌다.
‘아니다. No’였다”라고 적었다.
이어 전 전의원은 “박근혜의 권력 의지는 대단했다.
나는 그녀를 관찰하면서 저렇게 까지 대통령이 되고 싶을까 싶었다”며
“그러면서 몇 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녀에게 있어서는 권력이란 매우 자연스럽고 몸에 맞는 맞춤옷 같은 것이라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 그녀에는 생활 필수품이라는 것을 말이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2004년 박 위원장이 당 대표였던 시절, 전 의원은 당 대변인을 맡아 최측근으로 지냈다.
그러나 전 의원은 2007년 대선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면서 박 위원장과 멀어졌다.
이후 전 의원은 언론 인터뷰와 자신의 블로그 등을 통해
박 위원장에 대해 뼈있는 발언을 종종 해왔다.
다음은 전 전 의원의 어록이다.
"박근혜 위원장은 자기의 심기를 요만큼이라고 거스리거나
나쁜 말을 하면 절대로 용서하지 않는다.
그가 용서하는 사람은 딱 한명 자기자신이다"
"하루는 어머니들과의 대화를 위해 패스트푸드 점을 찾았는데
박근혜 위원장이 햄버거를 먹지않고 있기에
"왜먹지않냐"고 물었더니 대답이 없더라.
보좌관이 포크랑 나이프를 들고오니 그제야 먹었다"
"박근혜에게 한나라당은 '나의 당' 이었다.
한국은 아버지가 만든 '나의 나라' 였다.
국민은 아버지가 긍휼히 여긴 '나의 국민'이었다.
물론 청와대는 '나의 집' 이었다.
그리고 대통령은 바로'가업' 이었다."
"친박 의원들이 박근혜 대표의 뜻을 헤아리느라
우왕좌왕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면 박 대표는 '제가 꼭 말을 해야 아시나요?'라고 단 한마디 한다.
'내가 말하지 안하도 알아서 해라' 하는 것은 그 자체가 비민주적이다"
"박근혜는 늘 짧게 대답한다. '대전은요?''참 나쁜 대통령' 등
국민들은 처음에는 무슨 심오한 뜻이 있겠거니 했다.
그러나 사실 아무내용 없다.
어찌보면 말 배우는 어린애들이 흔히 쓰는 '베이비 토크'와 다른점이 없다"
"박 대표 바로 뒤에 앉아 있었다.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의원들이 말했다.
'대표님 머리에 우비모자 씌워드려야지' 나는 당황했다.
자기 우비모자는 자기가 쓰면 되는 것 아닌가?
내가 씌워드렸지만 박 대표는 한마디도 없었다"
"박근혜는 전당대회에서 '한나라당은 부정부패 연루자를 보호하지 않으며
기소되면 당원자격을 정지시키고 유죄가 확정되면 영구제명하겠다'고 말했는데
부정부패로 유죄가 확정돼 2년반 콩밥을 먹은 사람을 비대위원으로 임명했다"
"박근혜는 대통령 될수도 되어서도 안된다.
정치적 식견-인문학적 콘텐츠도 부족하고 신문기사를 깊이 있게 이해못한다.
그녀는 이제 말 배우는 어린 아이 수준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