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저그는 매우 전략적인 종족이며 제일 재미있는 종족 [22]

이병 푸드득푸륵푸륵 | 18-07-25 14:03:21 | 조회 : 398 | 추천 : -


저그는 왜 버러우를 개발안하는지 이해가 안감. 물론 버러우해도 디텍딩 기능이 있는 후반에는 별 전략적 용도가 적은건 맞음.

 

하지만 업그레이드하면 정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경우가 많음.

 

즉 멀티기지에 저글링 박아놓으면 그 저글링 제거할때까지 건물도 못내리거나 똔느 애시당초 멀티가 예상되는곳에 저글링 한 6마리 버러우 해놓고

 

멀티하는 시점에서 또는 멀티 완성해서 일꾼 달려오는 시점에서 저글링 버러우 풀어서 견제도 가능함. 

 

또 배슬이 지우게 짓거리 할때 드론들 버러우도 가능하고 또 지럿 드랍으로 피해줄때도 버러우로 보호가능함. 

 

진짜 여러모로 전략적 용도가 가능한게 버러우인데 


왜 활용안하는지 도저히 모르겟음.

SNS로 공유하기
  • 중사 yukikaze7년 전 | 신고

    전설의 3드론ㄱ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yukikaze왜 저그프로들이 스스로 전략적 방안 중 하나를 그냥 포기하는건지 이해가 안감...
  • 소령 Torcler.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언제찍으면 좋겠는데? 니생각엔 ?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Torcler.어느정도 전선이 형성되는 한 15분이나 20분정도??? 물론 초중반에는 힘겨루기가 들어가니까 비용이 들어가긴 좀 그렇지만 서로 어느정도 위아래 또는 좌우 먹고 들어가기 전에 업그레이드 하면 매우 좋을 듯함. 
  • 소령 Torcler.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15분이나 20분이면 쓸곳이없을거같은데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Torcler.아니아니 내 말은 어차피 그 정도 시점이면 자원도 팍팍 올라가고 100모으는 것도 몇초도 안걸리는 시점이잖아. 그럼 개발해 놓는다면? 전략적카드가 생기고 지우개 같은 견제에 대한 카운터도 생겨. 그리고 변수도 만들어 낼 여지가 생긴다구. 
  • 소령 Torcler.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지우개방비하는데는 좋다고생각함 . 지우개방지용으로는 탁월한듯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Torcler.솔직히 너무 많은 저그 유저들이 드랍이나 이런걸로 너무 많이 당하잖아. 물론 버러우를 쓴다고 해서 절대방어라고는 할 수 없지. 하지만 내가 견제당하는 다양한 수단 중 일부에 대해서 카운터를 가지는 카드를 가지게되는건데 그걸 왜 포기하는건지...
  • 소령 Torcler.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버러우히드라로는 드랍막기힘들고
    저글링은 그냥 땅위에 올려놔서 드랍쉽따라다니며 못내리게한후 스컬지로 격추시키는게 나을거같은데
    버러우위치에 내린다는보장도없고 타지역에내리면 저글링은 대기하고있는 의미가없어짐..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Torcler.ㅇㅇ 버러우 히드라로 방어한다기보다는 사실 견제가능한 소수의유닛을 멀티지역에다 사전에 박아놓는거지. 테란유저라든지 플토유저들이 멀티지역에다가 스캔이나 옵저버 로 확인하고 하는 경우는 드물잖아? 그때 유닛을 몇마리 박아놓고 결정하는거지. 멅티 완성되기 전에 아예 취소시키던가 아니면 완성시키고 박살내던가. 아니면 완성되고 일군와서 일꾼을 잡던가. 이런 전략적카드가 늘어난다는거지. 이건 곧 승패의 변수로 연결되고.
  • 소령 Torcler.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너가말한시간대는 15분대 부터인데 그때 그걸하기엔 많이늦은시간대임.
    참고로 디파가나오는 시간대는 12분정도임. 
    그리고 1분에서 2분안에 타스타팅앞마당 챙기고.
    이타이밍때 테란은 레메준비하잖아. 아니면 더전이던가
    그래서 한참늦을거같은데
    솔직히 저테전 자원 ㅈㄴ빡빡함. 버러우돌릴 시간없음.
    유닛업글하는 거  무조건해야하지만 그런자원조차 아깝다느껴질정도로빡빡하던데
    상황이유리할때 버러우업먼저해서 박아놓으면 좋긴 당연히 좋다만
  • 이병 Starcraft BW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마메 드랍쉽이던 템플러 드랍이던 방어하는데 버로우는 쓸모가 없긴 없자나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Starcraft BW그런부분에 대해선 쓸모가 없지 하지만 만에 하나라는 경우의 수가 있잖아. 예컨대 리버드랍일 수도 있고 또는 질럿드랍일 수도 있고. 해놓으면 반드시 쓸데가 생기고. 그럼 피해를 막아내고. 저그에게는 변수가 생기는 전략적 카드를 쥐게 된다는게 핵심인거지. 애시당초 버러우 카운터전략을 대상으로 비교하면 안된다고 생각해
  • 이병 Starcraft BW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저그전 리버나 질럿 드랍이 템 드랍보다 많이 쓰인면 네 말이 맞지.. 빈도수가 떨어지니까 문제지. 다크 드랍 대비면 그래도 말은 되겠다만.. 다크 드랍은 꽤 많이하니...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Starcraft BWㅇㅇ 물론 상대방이 하템이 오면 못막아. 일꾼뺴거나 당해야된다구. 그건 어쩔수 없어 어떤 전략이든 다 막으면 버러우가 사기일테니..하지만 다양한 견제수단중 일부를 막아낼 수 있는 전략적카드를 포기하는건 난 솔직히 프로들 직무유기라고 생각한다..애시당초 이런걸 생각조차 안하고 있다는 거니까..
  • 이병 Starcraft BW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하긴 해~ 특히 토스가 커리버면 전프로들도 버러우 개발 다 함. 거의 다 질드라템 안하는거일뿐.
  • 일병 ajfkdlsjfkdjls7년 전 | 신고

    배슬 지우개 할 때 드론 버로우 하면 딜 안들어감? 처음 알았네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ajfkdlsjfkdjlsㅇㅇ 딜안들어가. 그러니 이런 전략적카드를 왜 포기하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저그유저들이. 필수로 업그레이드해야하는 기술인데. 스스로 카드를 버려버려, 
  • 일병 Fushsna7년 전 | 신고

    밥먹고 스타만 하는 애들인데 좋은 기술이였으면 당연 사용했겟지 그 업글 비용대비 효율이 안좋으니깐 사용 안할거라고 생각하는데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Fushsna진짜 난 저그 애들 하는거 맨날 지켜보는건데 진짜 버러우 개발해놨으면 안당했을 견제를 너무 많이 바와서 그럼.... 당연히 유닛뽑는게 효율적인긴 한데 내가 모든 맵 다 보고 하나도 견제 다 안당할 자신 있으면 그게 맞다고 봄..그런데 그게 아니잖아 솔직히. 그럼 방어카드를 하나라도 가지고 있는게 합리적인 생각이라고 봄..근데 난 프로들이 겜하는거 보면 버러우라도 적극적으로 개발하면서 사용하려는 노력을 일체 본적이 없어서 그래. 랭겜돌리는거봐도. 뭔가 연구하려는 자세는 없구 맨날 스폰빵만 하고,..
  • 일병 Fushsna7년 전 | 신고

    @푸드득푸륵푸륵우선 반응을 못해서 받는 견제는 버러우 하나마나 다를게 없는데요?
    님이 말씀 하시는 견제는 무슨 견제인가요???
    지우개말고는 효과가 없을거 같은데요??
    테란 드랍십 떨어지면 더러우 하면 스캔 뿌리면 끝
    프로토스 다크 드랍 그거 반응 하고 버러우 보다는 그냥 앞마당으로 일꾼 빼는게 더 이득 같은데요??
  • 이병 푸드득푸륵푸륵7년 전 | 신고

    @Fushsna아니 그러니까 앞마당 빼도 어차피 다시 왕복해도 버러우로 하는게 그 시간도 절약이 되고 또 상대방 스타팅지역에 사전에 몇마리 저글링밖아놓고 상대방 멀티할때 선택권도 늘어나잖아. 그리고 테란같은 경우에는 종족상성상 버러우 능력이 제한 될 수 있지만 그래도 견제당하는 공격중 방어카드 하나 겜 끝날떄까지 쥐어준다는거 자체가 의미있는 것이고. 또 프로토스나 테란 같은 상대의 경우 상대 멀티 스타팅에서 사전에 저글링 밖아놓고 멀티를 차단시키거나 멀티 완성후 일꾼 잡거나 전략적 판단하는 카드를 쥐어주는게 핵심이라고.  왜 이리 단순하게 만 생각하냐...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변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카드라는게 핵심인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