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정보] 스타2입문자가 알아야할 실력 빠르게 늘리는 방법.araboja [12]

중사 ithings | 15-10-18 06:08:12 | 조회 : 3049 | 추천 : +17


1. 프로게이머의 경기를 챙겨보기

 

네이버 - 스포츠 - E스포츠&게임 탭 - 영상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esports&category=starcraft2)

에는 많은 게이머들의 플레이영상이 존재한다. 

 

프로게이머의 경기와 해설을 주의깊게 들으면서 

각 유닛의 상성이 어떤지, 

이 상황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등을 익히도록 한다.

 

2. 컨트롤류 아케이드맵을 즐기기

 

신전부수기 - 프로게이대전       ㅡ 스타1의 신뿌 Old and New와 비슷함. 프로게이머를 정하고 그 게이머의 특성에 맞는 유닛들로 상대 신전을 부수면 이김. 스타1, 자날, 군심 등 많은 프로게이머들이 있으므로 상성과 전술을 익히기 바람

 

생산과컨트롤  ㅡ 집정관모드랑 똑같다고 보면 되지만 생컨은 생산자와 컨트롤이 나뉘어져 있는 반면 집정관모드는 역할이 정해져있는건 아니고 그냥 서로가 알아서 한 베이스의 기지를 컨트롤하면 되는 것. 도움이 됨

 

못깨면브론즈컨트롤 ㅡ 못깨면 병신컨트롤이랑 똑같음. 기초 컨트롤에 상당히 도움이 많이됨. 혼자서도 플레이 가능하니 해보세요  

 

랜덤미네랄컨트롤

 

최저가컨트롤

 

개인랜덤컨트롤

 

개인랜덤물량컨트롤 

 

  이 일곱가지 맵은 유닛을 다루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에 좋은 역할을 한다.


사지의사투

 

이 맵은 버티기류의 맵인데 블리자드에서 만든 공식 유즈맵임. 업적도 딸 수 있고 친구한명과 협동해서 본진을 사수하고 미션을 완료하는 맵. 밀리형식이므로 도움         이 됨.

 

별난 보석

이 맵은 애니팡과 같이 3개 이상의 보석들을 맞추면 미네랄을 얻고 이것을 이용해 유닛을 소환해 상대 기지를 부수는 맵임. 컴퓨터랑도 가능한 맵. 역시 블리자드 공식맵임. 직접적인 컨트롤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유닛의 상성이 상당히 중요한 맵이므로 상성싸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유즈맵은 래더할때마다 손이 떨려서 못하겠는 사람들, 자신이 없어서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사람들,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서 발만 동동 구르던 사람들한테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줌. 게다가 재미도 있으니 컨트롤맵을 즐겨보는 것도 하나의 실력향상의 요소일 것임. 

 

다른 유즈맵도 많으니까 가끔씩 해주고 ㅋㅋ 

 

 

3. 캠페인 즐기기

 

캠페인은 스타크래프트 근원(오리지날), 종족전쟁(브루드워), 자유의날개, 군단의심장, 공허의유산 

이렇게 연결되어있음. 스1이랑 스2랑 그래픽만 다르지 사실 스토리 세계관 배경 모두 다 같음.

그래서 스타1을 하던 사람들도 쉽게 접할 수 있고, 실력을 늘리는데에도 도움이 됨. 다만 실제 래더유닛들과는 유닛과 건물들의 스펙이 다른 경우가 많으니

캠페인을 통해 비약적인 실력을 얻겠다는 마음은 접는게 좋음. 

 

4. 팀 래더 시작하기

 

기초 상성과 컨트롤을 익혔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실전에 나설때임.

컴퓨터랑 싸우는건 사실 그다지 큰 도움은 안되고

사람이랑 하는것이 좋음.

하지만 혼자서 래더를 하게되면 상당히 불안하지. 스타크래프트2 래더는 2:2, 3:3, 4:4까지 지원하므로 (자기 혼자 지원해도 다른사람 하나랑 자동으로 팀편성해서 매치해줌) 사람과의 실전감각을 늘릴 수 있음. 혼자 할때보다 아무래도 의지도 되고 말이야 


다만 잊지 말아야 할것은 절대로 종족을 정해놓고 하지 말라는 것임.

반드시 랜덤(무작위)로 설정해놓고 2:2래더를 플레이하셈.


아직 너는 입문자이기때문에 너가 종족을 정한다고 해도 그 종족에 대해 그렇게 두각을 보이는 것도 아닐뿐더러,

스타를 잘하려면 한가지 종족만 해서 되는게 아니라 세가지 종족 모두 해보면서 상황대처와 빌드를 알고 있어야 함.

 

따라서 랜덤으로 하루에 5~10판씩 하다보면 실전감각이 두드러지게 상승할것임.

 

5. 빌드익히기

 

각 종족에게는 빌드가 있음.

그리고 이 빌드라는 것은 수백가지이기때문에 모두 대처하기는 힘듬.

따라서 각 종족의 정석빌드와 타이밍만큼은 알고있어야함.

 

저그의 정석빌드는 10대군주 15앞마당 16산란못 17가스 19여왕

테란의 정석빌드는 10보급고 12병영 13가스 15궤도사령부 16해병 17사신 18사령부 (이후는 자율재량) 보급고 기술실or반응로 군수공장 우주공항

플토의 정석빌드는 9수정탑 13관문 14가스 17수정탑 17인공제어소 19모선핵 21추적자or파수기 23로봇공학시설 수정탑 파수기 관측선 연결체

 

이게 정석빌드고 이 정석빌드에서 타이밍을 조금 느리게하느냐 빠르게하느냐 

어느 테크에서 멈추고 유닛을 뽑을거냐 

상대가 뭘 하는데 나는 이걸 뽑아야겠느냐

 

이렇게 파생되는것임.

 

멀티를 먹는 빌드면 업그레이드를 빨리 눌러주는 것이 좋고 상대 정찰 지속적으로 하면서 수비할만한 충분한 유닛을 갖춰야함.

공격빌드면 테크포기하고 업그레이드 포기하고 상대 정찰지속적으로 하면서 어떤 유닛이 효과적일지 생각하면서 뽑아야함.

운영빌드면 업그레이드를 약간 늦추되 물량을 조금 더 갖추고 상대 정찰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눈치보면서 멀티먹음

 

이런식임. 

그래서 앞서말한 빌드공부에 앞서서

상성공부와 상황대처능력이 중요했던것임.

 

그리고 또 중요한건 이 단계에서 자신의 주 종족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정해야함.

 

6. 1:1 래더 도전하기

 

이제 1:1래더에 도전해보자

스타2의 래더 등급은

 

입문자 -> 브론즈 -> 실버 -> 골드 -> 플래티넘 -> 다이아 -> 마스터 -> 그랜드마스터로 나뉘어져있음.

대부분의 사람들이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에 몰려있음.


참고로 인공지능(컴퓨터)의 최고난이도인 정예난이도가 실버정도라고 보면 됨.

골드를 목표로하고 래더에 계속해서 도전해보자.


7. 마이크로컨트롤과 전술 연습하기

 

이제는 피지컬을 늘릴 차례이다.

해병산개 컨이나

마인박기 컨

맹독컨 바퀴 잠복컨

병력을 얼만큼 나눠서 몇몇은 견제를 갈것인지

공격을 갈때 3방향으로 공격을 갈건데

얼마만큼의 병력을 어떤순서로 어떤유닛을 구성해서 할건지

 

지금의 지형을 최대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각 유닛의 구성비는 어느정도되야하는지

화면지정과 부대지정은 어떻게 하면 좋은지

등 이제 빌드와 상성 등 기초는 모두 알고 있으니

 

피지컬을 연습하면됨.

여기서 피지컬은 중간정도만해도 래더 플래티넘, 다이아는 찍는다고 보면 됨.

 

플래티넘 상위와 다이아부터는 빌드싸움보다는 피지컬싸움이 더 주가되는 경우가 많음.

고수간에는 이미 빌드는 다 널리 알려져있기 떄문에 

왠만한 극상성빌드가 아니면 다 이 피지컬로 승부가 갈린다고 보면 됨.

 

실력을 늘리는 방법중 가장 힘든 단계

 

8. 아마추어 대회출전

 

클랜을 들어간다거나

뭐 공허스타리그나 고인규리그 엔진토너먼트 등

그냥 좀 한다는 애들이랑 계속해서 해보길 바람.

프로게이머가 되라는 뜻이 아니라

No venture, No gain이라고

나름의 대회출전을 통해 스타에 대한 애정도 키우고 상금도 얻고 네티즌사이에서

명예도 얻으라는 이야기

 

이정도까지 한다면 거의 스타 고수라고 불러도 무방함.

 

 

 

 

SNS로 공유하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