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마트 시식코너 없애고, 주말엔 문닫아라… [44]

소령 세븐닝 | 17-10-23 16:51:17 | 조회 : 13557 | 추천 : +17


그냥 '폭탄'이라면, 두 번째는 '핵폭탄'이다. 정부와 여당에서 골목상권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워 국내 유통산업을 겨냥한 초대형 규제들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국내 유통업계가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에 대한 의무휴업이 시행된 지 5년만에 판촉직원 인건비 분담과 복합쇼핑몰 의무휴업 도입 등 영업환경을 위축시키는 정책이 나온 탓이다. 당장 내년부터 대형마트 시식코너가 사라질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8월 발표한 '유통분야 불공정거래 근절대책'에는 종업원 파견에 대해 유통업체의 분담 의무를 명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금까지는 납품업체가 판촉이나 시식 행사 등에 파견한 직원의 인건비를 전액 부담했지만, 앞으로는 대형마트가 이를 분담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6일 대형 유통업체가 파견 직원의 인건비 절반을 부담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대규모유통업자가 납품업자 등의 종업원을 파견받는 경우 파견받는 분담비율을 포함해 파견조건을 서면으로 약정하도록 하고, 파견비용의 분담비율은 해당 파견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에 따라 정하되 납품업자 등의 분담비율은 100분의 50 이하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 의원이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개사와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AK 백화점 등 대형백화점 5개사가 회원사로 있는 한국백화점협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들 대형유통업체가 납품업체로부터 상시적으로 파견받고 있는 판매사원은 약 12만명(대형마트 3개사 약 3만4000명, 대형 백화점 5개사 약 8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의 인건비는 약 3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법 개정시 그동안 납품업체들이 전액 부담하던 약 3조원 이상의 파견직원 인건비 중 최소 절반 이상을 대규모유통업체가 분담해야 하는 셈이다.

그동안 대형마트에 상품을 납품하는 업체는 신제품을 홍보하거나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시식코너와 특설매장을 운영했다. 각종 브랜드가 한 곳에 모이는 만큼 시식행사로 인한 이익은 대형마트보다 제조사에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소비자들이 같은 종류의 경쟁사 제품 대신 시식행사 상품을 고르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의 시식행사를 없애 인건비 부담을 줄일 공산이 크다. 결국 판촉직원 일자리가 사라지는 셈이다. 백화점의 경우 기존에는 임대료 대신 매출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를 받는 방식에서 임대 매장으로 바뀔 수 있다. 그동안 백화점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모객에 나섰지만, 전 매장을 임대매장을 돌릴 경우 경품행사나 카드할인 행사 등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더 큰 문제는 의무휴업 대상이 확대되는 점이다. 당정이 최근 마련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에는 대기업 계열의 복합쇼핑몰에 대하 월 2회 공휴일 의무휴업을 도입하는 방안이 담겼다. 나머지 복합쇼핑몰의 경우에도 각 지자체나 인근 지자체가 요구할 경우 묻을 닫도록 했다.


또 유통업태 등록 제도를 정비해 현재 아울렛과 대형 백화점, 역사형 쇼핑센터 등도 복합쇼핑몰로 분류, 의무휴업 규제를 적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중소벤처기업부는 도심형과 교외형, 역사형 등 규제를 차등화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http://news.nate.com/view/20171023n03909

SNS로 공유하기
  • 중령 여자손잡고싶다8년 전 | 신고

    기사원문을 긁어오지말고 스샷을찍어오는게 좀이라도 더 읽으려함
  • 소령 좌빵우경8년 전 | 신고

    결국.   시식 직원들 다 짤린단 소리네 ... 베스트 댓글
  • 이병 심심하다시발8년 전 | 신고

    @좌빵우경실업자 만드는 소리 안 나게 해라
  • 대령 서포터8년 전 | 신고

    인구 감소 절벽을 스스로 만드는꼴
  • 중령 강서구제임스8년 전 | 신고

    저딴것도 정책이라고 내놓는 병신새끼들ㅋㅋ 베스트 댓글
  • 이병 무시합니다8년 전 | 신고

    얘네들은 근본적인 대책을 모른다는건가;;
  • 중위 검은 봉황8년 전 | 신고

    시대를 거꾸로 가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중령 가을타는 올빼미8년 전 | 신고

    정책 한다는 새끼들이 왜이리 대가리가 안돌아갈까  진심장난아니고 머리는 먼장식으로달았는지 궁금하다  그냥 지네욕구대로 할려 단건가?
  • 삭제된 댓글입니다.
  • 소장 키스틱8년 전 | 신고

    @귀쇼닫기전날에 장보러가지ㅋㅋ 
  • 이병 저는똑똑합니다8년 전 | 신고

    대기업들이 유통업계뿐만 아니라 각종 업계들 다 지배하고 있다. 문통령은 그 더러운 지배구조를 끊으려고 노력하능건데 왜 그러냐?이게 욕 먹을 행동인가? 
    대기업새기들이 많은 자본으로 좋은시설도 마련하고 납품가 후려처서 쎄게팔고 하는게 소비자입장에서는 좋겠지 근데 시장이나 동네마트들은 굶어죽으라능거냐 그들도 지켜야 할 가정이있다 대기업은 저 사업 망해도 안 죽지만 시장상인들이나 동네마트들은 굶어 죽을 수 있어
  • 대령 아닭다락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근데 근본해결법이 아님 저정책을 해서 욕하는게 아니라 저방향으로 해결하는걸 욕하는거임
  • 상사 콘돔꺼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제가 못배웟긴한데 경쟁에서 지고 없어지는건 당연한거 아닐까여? 베스트 댓글
  • 이병 저는똑똑합니다8년 전 | 신고

    @콘돔꺼다 같이 잘 사는걸 생각해야지 뭘 망하는게 당연하데 
    니네 가족이나 너가 대기업에 무너져도 경쟁성 없다는 헛 소리항꺼냐 시발 어이가없다
  • 이병 초보엠생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님 가족이나 님이 시식판촉일하면서 먹고살고있었는데 개뜬금없이 시장상권때문에 짤린다고 생각해보세여
    솔직히 재래시장이 뭐 어디 장점이있었으면 충분히 잘 살아남았겠지 자기들끼리 상인회만들고 뭐라도 해보는척하다가 결국 상인회안하면 장사못하는수준 만드는곳도 많은데
  • 중령 녹차가좋아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병신이세요? 사람이 당연 더 싸고 질좋고 서비스 좋은곳으로 가려고하는게 당연한거아닌가?
  • 소위 건조하다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님집 동네구멍가게함? 동네구멍가게도 품질좋으면 잘된다 시장 반찬가게가 맛좋은 음식점은 다잘되 맛과품질로승부하는거지 이해가되니? 니가말하는건 북한체제랑비슷한거자나 너 문재인좋아하냐?
  • 준장 블랙버터플라이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닉값 못하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시장 살릴려고 하루아침에 일자리 없어지는 판촉사원들은 왜 생각안하냐? 아 거기까지 대가리가 안돌아가제? 미안하다 ㅋㅋㅋㅋ
  • 상사 장전준비완료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ㅋㅋㅋㅋ 다같이 잘사는거 좋지 그런데 판촉이나 시식행사하면서 간간히 살고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건데 ㅋㅋㅋ 이게 그사람들의 생각을 안한거지 어떻게 다같이 잘살아보세라는 말이나오는거냐 누군가의 직업이나 직장이 사라져서 욕을쳐먹는건데
  • 상사 장전준비완료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애초에 이 정책 원문 읽었을때부터 다같이 잘살면좋지끄덕끄덕하는게 판촉사원들 생각을 안하고 이제 사람좀 몰리겠군 한게 틀려쳐먹은생각이다
  • 하사 직립엉덩이8년 전 | 신고

    @콘돔꺼경쟁이고 나발이고 소비자입장에서 툭하면 원산지 속이고 가격 장난치고 비위생적인 재래시장 억지로 등떠밀려 가게 생김
  • 상사 뭣이중한디8년 전 | 신고

    @콘돔꺼문제는 지는건 맞는데 경쟁자가 하나도 없을때 독점으로 가격올리면 그위험성은 어떻게 하나요?(대기업끼리의 담합은 늘 있었잖아요)
  • 중위 asdfzxcvqwer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닉값 못하는거같은데
  • 하사 용크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이런거 다 문제점같은거 고등학교사회시간에 배우지않나? 난 그때듣고 좀이해했는데 그수업안듣고 잠잔 얘랑이야기해보면 이렇게말하더라 
  • 소위 너희들참귀여워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뭐지 자본주의 시장에 더러운 지배구조라니??
    그건 공산주의가 자본주의를 부르는 말 아님??ㅋㅋㅋ
  • 소위 너희들참귀여워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ㅋㅋㅋ대기업은 망해도 안 죽지만 시장이나 마트는 굶어 죽을 수 있다니ㅋㅋㅋㅋㅋ
    혹시 하시는 일이?ㅋㅋㅋ
  • 일병 독화수감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구멍가게 사장이 대기업 직원이 되는거다. 직업의 이동이지 소멸이 아님. 대기업의 후려치기 폭리라던지 인건비관련 문제를 잡아야지 걍 대형마트를 조지는건 그냥 사회주의나 다름없지. 대기업이 제대로 돈을 안주면 문제지만 제대로 돌아간다면 중소 영세상인들이 난립하고 있는것보다 불필요한 비용감소로 모든 사람이 윈윈할수 있는거고 그렇게 되도록 기업을 규제해야지 영업을 하지말라니 ㅋㅋㅋㅋㅋㅋ차라리 로컬 생산품들을 받아서 마트에서 팔아준다던지 이런쪽으로 정부나 지자체가 일을해줘야지
  • 소령 Tokyo-Hot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대기업이 죽으면 그 대기업에서 일하던 사람들, 대기업 하청업체 직원들 다 죽는데 그사람들은 뭔죄냐??

    경쟁을 자유롭게 할수있는 판을 만들어주는게 아니고 한쪽편만 대놓고 드는게 잘하는거야?? 
  • 소령 현자타임^^마8년 전 | 신고

    @저는똑똑합니다그럼 대형마트 죽이기, 규제 로 노력하는게 맞는거냐? 전통시장 발전,개발 로 살리는게 맞는거냐? 생각을 해봐라
  • 대령 론박이8년 전 | 신고

    응 그래도 시장 안가
  • 소령 에당아다르8년 전 | 신고

    시장이 경쟁력이 없는걸 어떻게해 ㅋㅋㅋㅋㅋㅋ 더럽고 비싸고 현금만 받고
    대형마트 못가면 중형 마트 가겠지 
  • 소령 핑퐁28년 전 | 신고

    일요일 대부분 영업안하는거
    너무 불편하더라..
  • 삭제된 댓글입니다.
  • 중사 웃는여우8년 전 | 신고

    참 답답~하네. 지금도 의무휴업일에 전통시장 매출이 그닥 안늘어나는데 의무휴일만 늘린다고 효과 있겠나.
  • 이병 설희정8년 전 | 신고

    시장? 가지~ 근데 장보러안가~ 그냥 구경가서 분식류 먹는정도?~?

    주차도 못해~ 카드꺼내면 ~표정부터달라져~ 파리는 날라다니는데 관심도없어~ ^^

    동네 오케이마트가면 야채류 훨~씬싸고 청결해보이는데 ㅋㅋㅋ
  • 소장 키스틱8년 전 | 신고

    어짜피 닫기전날에 장보면 되는거고 일자리만 줄어드는 정책이네ㅋㅋ 재래시장이 시설도 서비스도 품질도 다 떨어지니까 안가는거지
  • 소장 꼼수학8년 전 | 신고

    이제 제대로 하는것 같다
    서민들 숨통좀 트이겠네
  • 이병 용이의오랜팬8년 전 | 신고

    하여간 씨~발새끼들 표에 미쳐가지고 대가리에서 똥만 주구장창 뽑아내는거 봐라
  • 중령 나나밍8년 전 | 신고

    더민주찍은새끼들 제발 혀깨물고 자살좀
  • 대위 ㅌㄹㄹ8년 전 | 신고

    사실상 이제 시장보다 오히려 마트가 서민들 생활에 더밀접한듯
    시장 잘되바야 자릿세 받아먹고 넘기든가 대물림 
    오히려 서민들 일자리는 마트가 더 도움되는거 같은데 갑질만 없어지면
  • 대위 ㅌㄹㄹ8년 전 | 신고

    그리고 젤 ㅈ 같은건 마트 휴업해서 일욜날 시장가니까 시장도 문닫은집이 80퍼 
    평일에 일마치고 8시쯤 가면 시장은 이미 퇴근 각임 먹거리코너뺴고..

    쓱배송덕에 먹고삽니다 
  • 이병 토컨8년 전 | 신고

    주말에 시장에 불지르러 가볼까?
  • 대위 부치8년 전 | 신고

    도태되면 사라지는게 당연한건데 다 죽은거 이런다고 살아나나
  • 소위 패왕가8년 전 | 신고

    우리 어머님이 하신 말씀 : 시장이 망하는 이유는 다른게 아니다. 가격은 진짜 시장이 싸기는 한데.. 생선 하나를 산다고 하면 마트에서 사면 손질 다해주고 소금뿌려주고 집에 들고오면 씻어서 굽기만 하면 되는데 시장에서는 그런거 귀찮다고 안해줘서 생선사면 집에서 손질 다 해야하는데 그러느니 돈 더주고 친절하고 손질 된거 산다. 그리고 가끔씩 가격물어보고 안사면 뒤에서 욕한다. 그래서 시장을 잘안가고 마트를 간다.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