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퍼옴)미국 핵융합 점화가 실패한 이유.jpg

중사 GravityNgc | 22-12-17 09:58:12 | 조회 : 824 | 추천 : -


jisu3.jpg


레이저로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레이저로 가열해, 


임계치에 도달한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핵분열을 일으키면서 에너지를 방출했지.


핵융합 점화가 아니라 핵분열 점화였던거야.


심지어 E=MC^2에 따라 질량 감소분 만큼 에너지도 나오지 않았지.


핵융합 점화는 실패했다. 핵분열 점화였다. E=MC^2이 틀린것을 증명했다는건데,


과학계가 핵융합 점화를 성공했다고 하는데, 핵융합 점화가 맞는걸까? 


마치 동물원에 있는 사슴보고 코끼리라고 하는거 같자나.


핵분열을 한다고 해서, 질량이 감소 한다고 해서 에너지가 방출되는게 아니야.


원자력 발전은 동위성 방위원소인 핵물질을 모아두기만 하더래도


에너지 분위가 상승하다가 임계치에 도달하면 핵분열을 일으키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그냥 모아만 두기만 하더래도 핵분열이 일어나는 질량을 임계질량이라고해,


이 임계질량에 맞게 핵물질을 모아두면 핵분열이 일어나는거지.


에너지가 원자 주변에 있는 전자의 간섭에 의한것이지.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고, 핵분열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안정적인 항성인 상태로 유지하고있어,


만약에 핵융합으로 에너지가 만들어졌으면 벌써 항성은 터졌을꺼야.


핵융합 실험을 수십년 했지만 에너지를 만들었다는 작은 연구결과조차 없어,


이번에 발표한 것도 핵분열 점화였지. 핵융합 점화가 아니였어,


ELM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 상태가 바로 핵분열이야.


핵융합 발전은 10년이 지나도 20년이 지나도 30년이 지나도 실패로 끝나게 될꺼야.







SNS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