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Ngc | 22-12-24 03:04:40 | 조회 : 916 | 추천 : +1
0.01나노는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0.00001은 말이 안된다고 하지. 이것도 가능하게 만들수있다는거야.
그 방법은 마스크의 크기를 100배 키우는거지.
100배를 키운다는것은 1개의 CPU 마스크를 100개를 이어 붙인다는 말이야.
CPU 1개 마다 자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여백을 둬야겠지.
그리고 축소렌즈로 4배를 줄인 상태에서 웨이퍼를 그리고,
웨이퍼가 잘 그려지면, 추가 공정으로 다시 또 4배를 줄이고,
웨이퍼 확인하고 추가 공정으로 다시 또 4배를 줄이는거지.
이렇게 5번만 하더래도
1나노 전용 마스크 100개를 이어 붙인 100배의 크기의 마스크를
4X4X4X4X4 =1024배를 줄였으닌깐,
1나노의 기준이면 0.001나노가 100개씩 그려지는거야.
여기서 달라진건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크기가 절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이야.
만약에 마스크가 100배의 크기가 아니라면 마스크에서 투과된 빛의 크기를 줄이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크기가 더 작아야 하며,
웨이퍼 전체를 그리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길다는 이야기야.
그래서 이렇게 생산성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는거지.
여기서 추가로 5번만 반복하면 1,000,000배 작아지는거야.
0.000001나노가 되는거야. 무려 정확하게는 1,048,576배 작아지는거야.
그리고 100개씩 그려지지.
만약에 0.00001나노의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만드는 능력이 부족하면
이렇게 마스크를 이어 붙여서 공정을 추가해주면 돼.
전자 한개도 수억개로 나뉘어질수있어.
빛의 크기는 밀도만 낮추면 더 낮출수있다는 말이 되는거야.
뿔 | 22.12.23 | 조회 : 3924 | 추천 : +6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2578 | 추천 : +14
가끔맞는말 | 22.12.23 | 조회 : 1039 | 추천 : +1
똥개ω | 22.12.23 | 조회 : 16500 | 추천 : +46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8201 | 추천 : +26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1467 | 추천 : +36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6732 | 추천 : +13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0171 | 추천 : +12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8544 | 추천 : +6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7235 | 추천 : +25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852 | 추천 : -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707 | 추천 : -
김찬미 | 22.12.23 | 조회 : 18145 | 추천 : +31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9555 | 추천 : +13
와르르맨션 | 22.12.23 | 조회 : 1025 | 추천 : -
샌님 | 22.12.23 | 조회 : 21067 | 추천 : +28
쥬리에타 | 22.12.23 | 조회 : 7190 | 추천 : +7
치치몬드 | 22.12.23 | 조회 : 13047 | 추천 : +8
브랜딘 | 22.12.23 | 조회 : 9355 | 추천 : +10
뻘뻘리뻘뻘 | 22.12.23 | 조회 : 21887 | 추천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