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아까 실인게에 간 1세별 정당 지지 세부 지표 [20]

상병 SaveSAV | 23-01-09 20:28:08 | 조회 : 2832 | 추천 : +11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51


18세 국힘-민주 : 3% 차이 M

19세 국힘-민주 : 1% 차이 M 

20세 국힘-민주 : 무승부

21세 국힘-민주 : 5% 차이 M

22세 국힘-민주 : 1% 차이 M

23세 국힘-민주 : 1% 차이 M

24세 국힘-민주 : 6% 차이 G

25세 국힘-민주 : 무승부 

26세 국힘-민주 : 6% 차이 G

27세 국힘-민주 : 7% 차이 G

28세 국힘-민주 : 6% 차이 G

29세 국힘-민주 : 3% 차이 G

30세 국힘-민주 : 1% 차이 M

31세 국힘-민주 : 2% 차이 M

32세 국힘-민주 : 1% 차이 G

33세 국힘-민주 : 5% 차이 M

34세 국힘-민주 : 2% 차이 M

35세 국힘-민주 : 4% 차이 M

36세 국힘-민주 : 12% 차이 M

37세 국힘-민주 : 15% 차이 M

38세 국힘-민주 : 11% 차이 M

39세 국힘-민주 : 11% 차이 M


**

G : 국힘 승리 

M : 민주 승리

**


- 30대 후반 36세~39세까지 민좆이 10%차이로 승리. 이건 상당히 유의미한 지표라고 평가함.

30대 후반은 40대와 정치성향을 같이한다고 봐도 무방할 듯.


- 20대 초반은 민주당이 약우세로 1% 차이로 민주당이 이긴 구간이 3곳.

3% 차이로 이긴 구간이 1곳, 5%차이로 이긴 구간이 1곳.

거의 막상막하. 다만 이걸 남녀로 나눠보면 남자쪽에서는 국힘 지지가 더 높게 나왔을 거라고 생각함


- 20대 중반~후반 구간은 이대녀들의 민주당 몰표를 뚫고 국힘이 평균 5% 이상 차이로 승리.

이건 30대 후반처럼 유의미한 지표로 봐도 될 듯. 20대 후반의 우파우위 특히 20대후반 남성들의 우경화로 봐도될 듯함.

내 생각에 이 연령대 구간의 남성들은 국힘 고정 지지층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봄


- 30 초중반 구간은 20대초반이나 30후반처럼 크게 격차가 나지 않음. 부동층(浮動層 뜰 부 움직일 동)이라고 봐도 될 듯



결론


20대 초반 막상막하

20대 후반 우경화

30대 초반 막상막하

30대 후반 좌경화


끝.





SNS로 공유하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