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Ngc | 23-01-14 21:30:41 | 조회 : 918 | 추천 : -
전압이 높아질수록 저항값이 커지면서 발열이 생기게 되는데,
온도가 상승하기전에 이 열을 빠르게 식히는게 중요해.
그러면 이 열을 빠르게 뺴낼수있게, 코팅을 해주는거야.
웨이퍼 위에 그래핀으로 코팅한뒤 그 위에 높게 산화막을 형성하는거지.
그리고 식각 공정을 통해서 깍아내리더래도 웨이퍼 바로 윗부분에
그래핀 층을 형성하는거야. 웨이퍼 위에 그래핀과 그래핀 산화막 2개로 나뉘는거지.
여기서 이 그래핀은 열을 빠르게 전달해줘서 발열을 식히고,
그래핀 산화막이 웨이퍼를 보호하면서, 터널링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거지.
수증기를 넣어 하는 습식은 밀도가 낮아서 터널링 효과가 발생하는데,
건식으로 하면서 그 위에 추가로 그래핀을 코팅해서 산화막을 형성하면돼
이러면 열 전도율도 높아져서, 빠르게 열이 빠져나가게 되고, 터널링 효과도 막아
누설전류도 감소시키게 되는거지.
스마트폰의 발열을 잡으려면, 소자의 크기를 줄이면서, 열 발생량을 줄이고,
열을 빠르게 전달하는 산화막 밑에 그래핀 소재가 필요하다는거야.
누설 전류도 해결하고, 발열도 해결하고, 터널링 효과도 막는 그래핀 + 그래핀 산화막 더블 코팅이지.
제냐 | 23.01.17 | 조회 : 1205 | 추천 : -
뭐든지퍼옴 | 23.01.17 | 조회 : 1118 | 추천 : +3
뭐든지퍼옴 | 23.01.17 | 조회 : 1113 | 추천 : +3
피자 맛있다 | 23.01.17 | 조회 : 3300 | 추천 : +3
갈리우스 | 23.01.17 | 조회 : 1001 | 추천 : -
코코볼불려먹기 | 23.01.17 | 조회 : 17350 | 추천 : +11
벹멍 | 23.01.17 | 조회 : 8978 | 추천 : +2
피자 맛있다 | 23.01.17 | 조회 : 12820 | 추천 : +8
코코볼불려먹기 | 23.01.17 | 조회 : 13336 | 추천 : +22
북명신공 | 23.01.17 | 조회 : 648 | 추천 : +2
윤버지 | 23.01.17 | 조회 : 15087 | 추천 : +24
치치몬드 | 23.01.17 | 조회 : 19384 | 추천 : +30
치치몬드 | 23.01.17 | 조회 : 20642 | 추천 : +52
아이씽 | 23.01.17 | 조회 : 763 | 추천 : -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1204 | 추천 : -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7848 | 추천 : +6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1252 | 추천 : -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12905 | 추천 : +8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6690 | 추천 : +4
와르르르맨션 | 23.01.17 | 조회 : 9223 | 추천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