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Ngc | 23-01-22 07:52:36 | 조회 : 682 | 추천 : -
이제는 4대강 녹조 문제를 발생하는 원인도 해결하는 방법도 다 알지.
그러면 취수구를 낮춰서 취수조에서 정화해 처리하는것보다.
강 생태계 유지 및 침전물 관리 시설을을 만들자는건데.
강의 아랫 물을 꺼내고, 대형 침전지에 넣어 침전 시키는건데, 2번,3번 반복해서
깨끗한 윗물을 취수조로 보내는거야.
영양염류 농도가 높을때는 이 시설로 물을 꺼내 취수조로 많은 양의 물을 보내겠지.
만약에 강 밑바닥의 영양 염류 농도나 용존산소가 충분하면
지금 취수구에서 그대로 물을 꺼내 쓰면 되는거지..
보를 설치한 곳 각 각 옆에 이 시설을 하나씩 설치하는거야.
강에 영양염류가 어느정도 유입되는냐에 따라 가동율이 결정될꺼고,
용존 산소가 떨어지는경우에 강 아랫물 여기서 꺼내다가 산소를 주입하고
강으로 다시 유입시키는거지. 깔끔하게 만들면 될 것 같아.
실시간으로 수질 농도, 용존 산소 체크 가능해야돼.
맨 아랫층의 물, 중간물, 윗 물 3층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거지.
아주 소량만 한시간에 한번씩 수질 농도 측정에 오차가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수있는 최소한의 량만 말이지.
그래서 그 수질 농도를 측정하고, 변화율도 측정하는거야. 이런 데이터 수집도 중요해,
이제 보를 설치한 강이나 댐에서는 이 시설을 필수 시설로 만들게 될꺼야.
이젠 정말로 4대강 녹조 문제 해결할수있어.
뿔 | 23.01.22 | 조회 : 1968 | 추천 : -
가마로굉종 | 23.01.22 | 조회 : 19676 | 추천 : +45
플레럭스단잉 | 23.01.22 | 조회 : 3138 | 추천 : +7
포메라니안 | 23.01.22 | 조회 : 1318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2 | 조회 : 964 | 추천 : -
서순 | 23.01.22 | 조회 : 1792 | 추천 : -
브랜딘 | 23.01.22 | 조회 : 23689 | 추천 : +32
하이퍼불 | 23.01.22 | 조회 : 11525 | 추천 : +12
마네킹추 | 23.01.22 | 조회 : 31646 | 추천 : -
After School | 23.01.22 | 조회 : 31311 | 추천 : +18
After School | 23.01.22 | 조회 : 23700 | 추천 : +28
당대표 박지현 | 23.01.22 | 조회 : 3916 | 추천 : +10
매화검존 | 23.01.22 | 조회 : 549 | 추천 : -
오냐아므 | 23.01.22 | 조회 : 851 | 추천 : -
GravityNgc | 23.01.22 | 조회 : 833 | 추천 : -
터키x | 23.01.22 | 조회 : 529 | 추천 : +2
터키x | 23.01.22 | 조회 : 984 | 추천 : -
터키x | 23.01.22 | 조회 : 16085 | 추천 : +7
터키x | 23.01.22 | 조회 : 579 | 추천 : -
터키x | 23.01.22 | 조회 : 744 | 추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