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Ngc | 23-01-22 11:53:11 | 조회 : 570 | 추천 : -
그건 바로 해양 온도차 발전이야.
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게 중요해
온도차 발전에서는 열이 이동되면서 기체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는데,
이 힘으로 터빈을 돌리면 돌린 만큼 기체 에너지가 감소하는거지.
기체에 열이 순간 많이 전달되면서 열이 운동에너지로 전환된거야.
가압기를 써서 안정시킨 상태에서는 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지 않아.
그래서 열 손실이 낮아져. 전도 효율이 높아진다는거지.
가압기를 원전에서 사용하는 이유야.
열 에너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환된 이동에너지를 이용해서, 터빈을 돌리는데,
다른 물질과 충돌하게 되면 이 이동에너지가 감소하는거야.
온도차가 클수록, 전환되는 에너지 속도가 빠를수록,
열이 기체의 이동 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이 커지는거야.
이 에너지로 터빈을 돌리거나 충돌하게해서 감소시키면
열에너지를 소비시킬수있게 되는거지.
그렇다면 20~30도의 물을 가지고 기체의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려면
끓는 점이 낮은 저비점 매체(암모니아,프레온 가스)를 가지고 터빈을 돌리는거지.
그래서 해양 온도차 발전이 지구 온난화를 해결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야.
밑바닥의 물을 펌프로 끌어 올리기 때문에,
전기 생산량이 적더래도 열 에너지 감소는 분명한거야.
온도차 발전이 지구온난화를 해결할 하나의 대안이 되는거지.
남극에 나무 많이 심기, 원전에서 냉각수 바로 방출하지 못하게 하기.
그리고 재생에너지 비율을 대폭 높이면서, 해양 온도차 발전소 많이 짓는거야.
지구 온난화도 해결할수있어.
아무리 높은 열을 가진다고 하더래도 고체나 액체 상태라면 그것은 열 에너지가
이동에너지로 전환된것이 아니라는것을 알아야돼,
그래서 압력이 높은 곳에서는 액체거나 고체 상태일경우 열이 이동에너지로 전환되지 않아.
그냥 열만 높은거야. 그래서 이 열을 기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동에너지로 전환되는거고,
그 이동에너지를 소비시키는게 바로 지구온난화를 해결할 열 에너지 감소 원리야.
하야쿠쿠 | 11:40 | 조회 : 1 | 추천 : -
하야쿠쿠 | 10:44 | 조회 : 156 | 추천 : -
하야쿠쿠 | 09:54 | 조회 : 195 | 추천 : +1
브페의중거리 | 09:23 | 조회 : 298 | 추천 : +2
치약발라 | 07:24 | 조회 : 453 | 추천 : -
치약발라 | 07:24 | 조회 : 4468 | 추천 : +5
치약발라 | 07:23 | 조회 : 4745 | 추천 : +5
트랜스포머 | 01:09 | 조회 : 2557 | 추천 : +3
트랜스포머 | 01:02 | 조회 : 3081 | 추천 : +4
토막저그 | 01:01 | 조회 : 3365 | 추천 : +4
트랜스포머 | 00:45 | 조회 : 3333 | 추천 : +6
트랜스포머 | 00:37 | 조회 : 3564 | 추천 : +4
fdsadag | 00:26 | 조회 : 1293 | 추천 : +4
트랜스포머 | 00:25 | 조회 : 2207 | 추천 : +5
jsjduudie | 25.07.28 | 조회 : 422 | 추천 : +1
뽀옹원 | 25.07.28 | 조회 : 517 | 추천 : +2
니악 | 25.07.28 | 조회 : 9341 | 추천 : +7
Anomalous | 25.07.28 | 조회 : 9143 | 추천 : +13
jsjduudie | 25.07.28 | 조회 : 787 | 추천 : -
치약발라 | 25.07.28 | 조회 : 563 | 추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