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Ngc | 23-01-22 23:32:40 | 조회 : 777 | 추천 : -
영양염류와 용존산소만 측정해서, 강 최저층의 물을 펌프로 꺼내는거야.
만약에 영양 염류가 부족하고 용존산소가 부족하면 그 물을 꺼내다가 산소를 충분히 넣어서,
위에다가 뿌리는거지.
이 과정에서 용존산소 문제가 해결되고, 성층 현상이 해결 돼,
영양염류가 과도하고, 용존산소가 부족한경우,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서 바다로 배출하는거지.
왜 이렇게 하냐면, 취수장이랑 취수구 건들지 않으면서 바로바로 해결하기 위해서야.
만약에 이 영양염류를 바다로 배출 안하면 굴 양식장 피해가 막심할꺼야.
강 용존 산소와 영양염류 농도,오염도만 측정해서 바로바로 빼내서 배출하는거지.
용존산소가 낮은 오염층을 필요에 따라 바로바로 빼내고 제거할수있도록,
4대강 물줄기에 따라 배수관이 만들어지겠지.
너무 간단하고 효과적이자나.
크게 크게 하려고 했는데, 이렇게만 해도 4대강 녹조는 해결돼,
유지 비용도 줄이고, 완전 자동화로 이게 가능하도록 할수있어.
어차피 녹조 성공보수비 포함 컨설팅 비용은 세금 별도 3조원이라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이것만큼 효과적인 방법이 없을것 같아.
밀도가 높은게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꺼낸 물의 용존산소가 높고 영양염류가 부족하면
더이상 꺼내지 않고 기다리면 다시 그리로 영양염류 낮은 용존산소 물이 모이닌깐,
농도에 따라 자동화 시설 도입하면 될듯함.
공사 비용 줄이고, 유지 보수 비용 최소한으로 들어가고 효과는 높이는거지.
이제 대한민국에서 녹조 뻘 시대는 끝났어.
4대강 녹조 비판하는 사람도 이 방법이
녹조를 해결할수있는 해법이라는것을 부정하지 못할꺼야.
전요환 | 23.01.23 | 조회 : 21715 | 추천 : +13
전요환 | 23.01.23 | 조회 : 19770 | 추천 : +16
플레럭스단잉 | 23.01.23 | 조회 : 734 | 추천 : +1
llIIIllI | 23.01.23 | 조회 : 8760 | 추천 : +6
전요환 | 23.01.23 | 조회 : 22965 | 추천 : +29
광주ymca | 23.01.23 | 조회 : 14944 | 추천 : +12
뭐든지퍼옴 | 23.01.23 | 조회 : 6036 | 추천 : +8
뭐든지퍼옴 | 23.01.23 | 조회 : 2691 | 추천 : +7
뭐든지퍼옴 | 23.01.23 | 조회 : 756 | 추천 : +1
뭐든지퍼옴 | 23.01.23 | 조회 : 460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20306 | 추천 : +13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1179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825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850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24991 | 추천 : +14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17937 | 추천 : +9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1092 | 추천 : -
포메라니안 | 23.01.23 | 조회 : 1347 | 추천 : -
영세민 | 23.01.23 | 조회 : 1250 | 추천 : +1
고정간첩문재인 | 23.01.23 | 조회 : 13797 | 추천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