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중앙銀 디지털 화폐 ‘CBDC’ 도입 속도 [18]

소장 뭐든지퍼옴 | 24-02-27 07:56:35 | 조회 : 5546 | 추천 : +5



Screenshot_20240227_075606_Brave - Nightly.jpg


전체주의가 도래한다.

SNS로 공유하기
  • 준장 장진남앞마당1년 전 | 신고

    박상기엿나? 내돈앗아간넘말야
  • 상사 토요일밤에!1년 전 | 신고

    @장진남앞마당상기의난... 대단했지
  • 중령 돈에미친놈1년 전 | 신고

    CBDC랑 가상화폐랑은 다름 베스트 댓글
  • 소장 뭐든지퍼옴1년 전 | 신고

    @돈에미친놈알아
  • 소령 퀸잉1년 전 | 신고

    나만 이거 이해가 안되냐
    어차피 정부랑 은행에서 관리하는거면 지금 통장에 찍혀있는 KRW랑 똑같은거잖아
    현금 없이 통장 잔고나 신용써서 플라스틱쪼가리로 화폐역할 다 하는데
    굳이 왜하는거임??
  • 준장 계엄령선포1년 전 | 신고

    @퀸잉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여러업체 등등 돈받아묵을라고
  • 준장 프장개1년 전 | 신고

    @퀸잉맞는말임
  • 이병 수하나1년 전 | 신고

    @퀸잉다르지. 통장에 찍혀있는 돈은 현물화폐를 은행에 맡겨서 찍히는 돈이고 cbdc는 말그대로 비트코인처럼 디지털상에서만 존재하는 화폐임. 단 각국 정부에서 법정화폐로 신용보증하는 것이기 땜에 신용도 차이가 넘사인거.
  • 소령 퀸잉1년 전 | 신고

    @수하나어느쪽이 더 신용도가 높다는건지 못알아들엇어..
    지금부터 현물화폐 싹다 통장에 넣은다음 전산하에서 카드로만 사용하세요랑
    지금부터 CBDC 발행할겁니다 이거쓰세요 하는거랑 똑같은거 아님??
  • 이병 수하나1년 전 | 신고

    @퀸잉ㄴㄴ 너가 개념을 헷갈려하는거같은데 현재 쓰는 카드건 어플계좌이체건 다 현물화폐(동전,지폐) 기반으로 운영되는 거자너.단지 사용하기 편리하게 디지털화 된거 뿐이고. 근데 cbdc는 완전 새로운 차원의 화폐야. 예를들어 옛날에 조개나 돌 같은걸 화폐로 쓰다가 엽전으로 넘어온것처럼. 근데 cbdc가 당장 사용시작 하더라도 신용카드든 은행계좌이체든 없어지는게 아니고 같이 쓰는거임.
    나도 자세하게는 모르니까 궁금하면 네이버검색ㄱㄱ
  • 소령 퀸잉1년 전 | 신고

    @수하나조개나 돌에서 엽전으로 넘어온게 큰 의미가 있어? 아무 가치도 없는데 뭘 보증할지를 정한 것 뿐이잖아
    금본위처럼 화폐에 대놓고 가치를 설정해서 신용이 없는 종이조각이라도 금으로 바꿔주면서 신용을 부여한것도 아니고

    이제 금본위 시대도 아니고 만원짜리 종이쪼가리도 국가보증으로 신용이 생기는건데
    국가보증 종이쪼가리vs국가보증 데이터조각의 차이가 딱히 안보이는데..
  • 상병 일리삼삼1년 전 | 신고

    @퀸잉저걸 화폐로 바라보기 보다는 화폐 단위, 인프라로 보는게 나음. 카톡 처음 나왔을 때 카톡은 구냥 문자 보내는 어플 이거였음. 지금은 카카오 택시 카카오 헤어 카카오 맵 이것 저것 확장해서 카카오 계정 하나로 연동하는 생활 인프라가 나온 것 처럼. 저것도 금융 결제 송금 이런 부분에서 기존 보다 나은 인프라가 나올고라 봄. 이걸 한국만 하는게 아니라 전세계가 같이 하려는거고.  해외 송금을 은행 to 은행으로 해보고 다음엔 코인으로 송금해봐. 느낌 알거다. 
    결론 - 화폐 자체라기 보다는 화폐 단위 화폐 시스템이다.
    명몯화폐 대체를 100퍼 대체는 불가능해 보임.
    공존은 쌉가능
  • 소령 퀸잉1년 전 | 신고

    @일리삼삼해외송금도 금액의 제한 빼면 수수료내면 은행에서 다 되잖아
    코인으로 송금하는것도 결국 거래소 거쳐야돼서 각국의 규정에 따라 금액도 제한될수있고 수수료도 매겨질수있던데

    새로운 생활 인프라도 맞는말 같긴해도 누군가의 파이를 먹을 뿐이라고 생각함 지금 송금수수료 먹는사람을 대체해서
    CBDC만들어서 상용화하는쪽에서 그 수수료를 먹겠다라는 생각같기도하고
    터치를 몇번 덜해도 돼서 편하다..음.... 대단한 변화인가 싶기도하고

    결국 국가에서 시행하는거면 수수료매기고 송금액 제한두는걸로 은행이랑 비슷한 규제로 갈거같다는 생각도 들고
    지금 디지털화된 기존 화폐랑 큰 차이가 생길거라는 생각이 안들어

    전세계가 같이 한다는것도 이상한게 미국에서도 자기딴에 어떻게하겠다 중국에서도 화폐에 유통기한을 만들겠다 어쩌겠다하면서 각국이 태도가 다른데 미국같은곳에서 기축통화의 유리함을 버리고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될지도 의심스럽고
  • 대령 jljlii1년 전 | 신고

    세금내야지
  • 중령 코후비1년 전 | 신고

    cdbc진행하면 검은돈들이 수면위로 올라옴 전부 디지털화 시켜서 탈세를 절대 못함 지역화폐가 CDBC 연습용임 저걸 가속화 하는게 이제 돈이 없고 경제활성화가 안되서 그럼 세를 더 받아함 지하경제규모 13년도 161조정도 됨 11년 지났으니 현재 양은 어마어마함  자영업자 죽이는거도 맞음 이제 더욱 더 정부 손아귀에 들어가는 길이긴 함 cbdc 하면 정부에서 재산 전부 확인가능해짐 특히 종교인들이 반발 심할껄 과세 못했으니까
  • 대령 소비자물가1년 전 | 신고

    월급쟁이, 유리지갑 사업자들이라면  찬성하는게 좋음.  나만 이때까지 세금 유리지갑처럼 꼬박꼬박 내왔는데... 이제 cdbc 되면 사기꾼, 도둑놈, 탈세꾼 할꺼없이 세금은 모조리 안낼수 없음.
  • 소장 뭐든지퍼옴1년 전 | 신고

    @소비자물가일거수 일투족 지배받을거란 생각은 안하냐
  • 대령 소비자물가1년 전 | 신고

    @뭐든지퍼옴어차피 지금 24시간 지배 받고있는데 무슨 상관이노... 일터나 집에서나 내 삶은 없다 이기..
<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