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여아 조기입학의 핵심 이유 [20]

11 아카이브 | 2024-06-04 10:21:09 | 조회 : 14661 | 추천 : +5



image.png

낳기만 해라  

image.png

정부에서, 국민들이 말하는 살집을 주어야 아이를 낳을거 아니냐?
사교육 비 및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들어서  애를 못 낳는다!

죄다 뻥임  




image.png
복지 최고의 정책을 추진중인 필란드 및 유럽국가들 
초반엔 1.7로 높았었음
근데 유지가 될련지.. 실질적으로 점점 낮아짐  1.32 ,1.52...


20대에 아이를 낳는 게 중요한 이유

인간도 포유류에 속해서 평균적으로 약 40.1개월에 첫 새끼를 낳는다고 해. 그러니까 20살에 첫 아이를 낳는 것도 늦은 편인데, 사회는 30살에 첫 아이를 낳으라고 부추기고 있어. 하나의 자녀를 낳는 것도 힘든데, 우리나라 출산율이 2.0을 넘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는 거 알지?

여성들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24살에 직장을 잡는다고 치자. 26살에 결혼하고, 28살에 아이를 낳으려면 최소 29살은 되어야 해. 그런데 조금만 삐걱거리면 결혼과 출산이 32~35살로 미뤄질 수밖에 없어. 현재 평균 결혼 연령이 32살인 것도 그 때문이야.

30살에 첫 아이를 낳으면 산후조리원이 필수야. 우리나라 산후조리원이 많이 생겨나는 이유도 그 때문이지. 반면, 20대에 임신하면 체력적으로 여유가 있어 두 번째 아이를 낳을 가능성도 높아져.

이스라엘의 출산율이 2.9에서 3.0으로 오른 이유는 1살이라도 더 일찍 사회 진출을 시키는 정책 덕분이야. 이 작은 차이가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거지. 20대에 아이를 낳으면 혜택을 더 주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지만, 30대 혜택이 줄어든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을 거야.

결론적으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20대에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사회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해. 1살 일찍 사회에 진출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해. 알간?

SNS로 공유하기

엽기자랑

< 51 52 53 54 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