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성공 | 25-06-14 18:55:41 | 조회 : 4878 | 추천 : +6
많은 추측이 있지만, 나는 이 이유를 들고 싶음.
아직 한국은 저출산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나라다.
이게 뭔 소리냐고?
-----------------------------------
(2025년 현재 한국 인구피라미드)
한국의 인구피라미드에서 90년대생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로써, 출생아수가 일시적으로 한번 튀어오른 시기였음.
대졸 비중이 매우 높은 한국의 특성상 적극적으로 구직을 하는 시기는 20대 중반부터 후반이라고 봐야하는데, 최근에는 장기화된 취업난과 경력직 위주의 채용시장, 채용 과정에서 나이를 보지 않는 대신 사실상 다량의 자격증을 요구하는 공기업 등에 취준하는 사람들로 인해 30대 초~중반 취준생도 흔히 볼수 있는 상황임.
그래서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취업시장의 주된 연령대가 인구가 많은 90년대생임. 사상 처음으로 출생아수가 40만명대로 떨어졌던 2002년생의 경우 남자는 군대를 갔다왔다면 아직까지 대학생이고, 여학생도 스트레이트로 4년을 끝마쳐야 올해 초 졸업했을 것임.
쉽게 말해 한국은 아직까지는 사회 전반적으로 신규 인력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나라인 것임. 당연히 어린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업계(유아/아동용품/사교육 시장 등...)를 제외하고는 사회 전체적으로 저출산에 대해 그다지 경각심을 가질 요소가 없는 것임. 지금 당장은 인력 공급이 잘되니까. 되려 저출산을 그리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시선도 상당히 많고(실제로 남초커뮤가 아닌 여초커뮤로 가면 저출산 이슈에 대해 상당히 냉소적인 반응이 많음)
하지만 이런 분위기는 향후 5~10년쯤 후부터 상당히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됨. 이때쯤부터는 2000년대생이 본격적으로 취업시장의 주류가 되면서 신규 인력 공급이 확 줄어들 예정이기 때문.
당연히 이때쯤부터는 저출산이 사회 전반적으로 직접적으로 체감될 시기이기 때문에 저출산에 대한 인식이 한번 더 크게 변할 가능성이 높을 것임. 특히 한국은 저출산이 천천히 진행되어온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충격이 단기간에 닥쳐올 가능성이 높고, 현재의 사회구조에 대해서도 큰 변화가 강제될 것으로 보임.
디시펌
탄탄면11 | 25.06.15 | 조회 : 1394 | 추천 : -
탄탄면11 | 25.06.15 | 조회 : 12937 | 추천 : +17
Huckleberry | 25.06.15 | 조회 : 16343 | 추천 : +6
TSING | 25.06.15 | 조회 : 18628 | 추천 : +6
브랜딘 | 25.06.15 | 조회 : 2611 | 추천 : +2
여미새 | 25.06.15 | 조회 : 9736 | 추천 : +10
여미새 | 25.06.15 | 조회 : 13103 | 추천 : +7
고소한칙촉 | 25.06.15 | 조회 : 15794 | 추천 : +8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3049 | 추천 : -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17626 | 추천 : +4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14868 | 추천 : +7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2591 | 추천 : -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15282 | 추천 : +7
와고수남 | 25.06.14 | 조회 : 13180 | 추천 : +6
김괘걸 | 25.06.14 | 조회 : 2873 | 추천 : -
봇치 | 25.06.14 | 조회 : 13560 | 추천 : +4
이칠순 | 25.06.14 | 조회 : 6946 | 추천 : +6
봇치 | 25.06.14 | 조회 : 11270 | 추천 : +12
xmdls | 25.06.14 | 조회 : 5936 | 추천 : +9
82년생 김지용 | 25.06.14 | 조회 : 26576 | 추천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