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여성유저 필독] 레이디스 스타리그의 역사를 되돌아보자.(2000 ~ 2006) 1편.

준장 Lied | 18-06-20 11:50:07 | 조회 : 1681 | 추천 : -


1장. 세계 최초 메이저 여성부 스타리그의 등장 : GhemTV 여성부 스타리그(2002-2005)

현재는 사라진 게임전문 방송국 GhemTV에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주최했던 스타리그인 GhemTV 스타리그.(1차, 2차 : 녹화방송, 3차 : 생방송)

 

GhemTV 스타리그는 당시 캐스터 전용준, 해설 김창선을 주축의 중계진에 나름 3대 메이저 대회로 인정받았다.

최초의 그랜드슬램을 한 이윤열의 등장도 이 대회와 함께 했다는 점. (온게임넷 스타리그 + KPGA(MBC게임 스타리그) + GhemTV 스타리그.)

 

해당 리그가 양대리그와 차별화 되었던 점은 바로 세계 최초로 여성부 스타리그와 함께 진행했다는 점이다. 

남성부에 비하면 인프라가 부족했던 여성부에 있어서 가장 권위있는 정통 스타리그였으며, 지속적으로 개최되었던 대회가 바로 GhemTV 여성부 리그였다.

이현주, 김경진, 김가을, 이종미, 서지수, 김영미, 김지혜, 박솔미 등 포함한 수많은 여성 프로게이머가 거쳐갔던 리그.

안겨 vs 감스트[관련영상]의 결전지였던 맵 '스노우바운드'가 제 1회 GhemTV 여성부 스타리그의 대회 맵이였다.(위 영상 09:04)

추가 맵으로 '라이벌리', '로스트템플'가 쓰였고 이후 '레이드 어썰트', '루나', '롱기누스', '아카디아2'

 

하지만 GhemTV 스타리그는 총 3회까지만 개최되었으며, 2003년 GhemTV가 경영난으로 4차리그 개최를 포기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경영난에 의해 주요 정규방송을 모조리 폐지했을 시점에도 그 의의를 살리기 위해 폐국 직전까지 마지막으로 개최했던 리그 역시 4차, 5차 여성부 스타리그였다.

실제로 GhemTV 스타리그 3차리그 결승전 엔딩영상에서 당시 대회를 중계하던 전용준 캐스터와 김창선 해설위원이 여성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다 주었으면 

하는 소감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2006년 이후 e스포츠 역사에서 여성부의 큰 부흥은 일어나지 않았다.[관련영상]

(2003년 GameTV로 명칭을 바꾸었지만 2005년 완전 폐국. 서울 강서구 발산동 위치)




2. 처음이자 마지막, MBC게임 레이디스 스타리그(Ledies MSL)(2005)


 

 

1. 종족별 여성 선수 분포

저그(Zerg)

: 김가을, 김영미, 현정은, 김경진, 이승연, 한미경, 김지혜, 서순애, 이현주, 깅경미, 김인경, 강민경, 김정희, 안소정, 강현, 박나래, 천다혜, 고유리, 김보라, 장효진, 김유리, 김하니

테란(Terran)

: 서지수, 박윤정, 김민기, 김혜섭, 김수라, 김사비나, 염선희, 노성은, 박솔미, 최안나, 조혜영, 박송이, 이혜진, 이은지, 김예지, 임우영, 강미애

프로토스(Protoss)

: 이지혜, 윤지현, 김지은, 박승인, 박소현, 한상희, 이혜영, 이준경, 황혜정, 양희란, 장미영, 권은경, 문은진, 이미소, 강은주, 이은경, 조혜림, 박지혜, 김가노, 전혜경, 이지수, 황미선, 홍현지, 김소영, 김효선


 

2. 프로팀 기준

KOR(→ 하이트 스파키즈 → 온게임넷 스파키즈 → CJ 엔투스) : 이종미(Z), 박솔미(T), 최안나(T), 강현(Z)

IS(→ plus → 르카프 OZ → 화승 OZ) : 사비나(T), 박승인(P), 이지혜(P)

GO(→ 슈마 GO → CJ 엔투스) : 김경진(Z), 이혜영(P)

KTF 매직엔스(→ KT 롤스터) : 김지혜(Z)

STX 소울 : 서지수(T), 이지수(P), 이승연(Z)

삼성전자 칸 : 김가을(Z), 김영미(Z), 이은경(P)

팬택 앤 큐리텔 큐리어스(→ 위메이드 폭스) : 염선희(T)

 


3. 여성부 스타리그의 계보

2000 배틀탑 스타크래프트 여성부

2000 국가 대표 선발전 스타크래프트 여성부

2000 Let's go game would 여성부

2000 KLGL 왕중왕전

2000 삼성디지털배 사이버 전국체전(CNGL)

2000 KBK 국제 마스터즈 대회 여성부

2000 온게임넷 롯데리아배 여성부

2001 삼성 디지털배 KIGL 여성부

2001 iTV 서바이벌 리그

2001 WCG 여성부

2001 스카이 GhemTV 여성부 특별전

2001 온게임넷 킹덤 언더파이어 특별전

2002 제1회 ghemTV 스타리그 여성부

2002 제2회 ghemTV 스타리그 여성부

2003 제3회 ghemTV 스타리그 여성부

2004 iTV 여성 최고수전

2005 CKCG 스타크래프트 특별전

2005 제4회 게임TV 여성부 스타리그

2005 Ledies MBC게임 스타리그

2005 SkyLife배 게임TV 여성부 스타리그

2006 SkyLife배 레이디스 스타크래프트 챔피언쉽

 

SNS로 공유하기
< 31 32 33 34 35 >